창의력 계발을 위한 자연과 교수 학습 자료 개발 - 2. 개발과 적용 -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Instructional Program for Nurturing Creativity - 2.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

  • 강호감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 노석구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 이희순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 홍석인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 최선영 (인천효성동초등학교) ;
  • 원용준 (인천교육대학교 대학원) ;
  • 하정원 (인천교육대학교 대학원) ;
  • 김지선 (인천교육대학교 대학원)
  • 발행 : 2001.03.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창의력 계발을 위한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초등학생의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교수 학습자료는 초등학교 5,6학년 교육과정 속에서 적용 가능한 창의력 구성 요소와 창의활동을 선정하여 학생용 활동지와 교사용 지도서로 개발하였다. 학생용 활동지는 흥미를 유발하는 도입, 자세한 안내와 자료를 제공하고 확산적 발문으로 생각하며 스스로 하게 한 실험 활동, 정리활동인 마인드 맵, 심화활동인 '생각해봅시다'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56명이며 이를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수학습 자료를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에는 교과서에 의한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3개월 동안의 실험에서 창의력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을 창의력 점수를 기준으로 3집단(상, 중, 하)으로 구분하여 면담과 관찰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창의력점수가 높게 나타났다(p<0.01). 실험집단의 면담과 관찰결과 과제수행 능력에서 상위집단은 주어진 시간 안에 과제를 잘 완수하였고 중위집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과제의 완성도가 높아졌으며 심화과제 해결정도도 향상되었으나 하위집단은 거의 해결하지 못했다. 전체적으로 언어적 표현보다 시각적 표현활동에 홍미를 갖고 참여하였다. 상위집단은 마인드 맵을 이용하여 학습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고 생각이나 느낌의 독창적인 표현능력이 향상되었다. 중위집단도 초기보다 정돈된 모습을 보였으나 하위집단은 어려워하였다. 상상하여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하는 창의활동에서 상 중위 집단의 표현이 점차 유연해지고 독창적으로 되어갔다. 활동지 전체에서 학생들은 민감성, 재구성력, 정교성 등이 높아졌다. 학습활동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다양한 표현방법을 이용하였고, 특히 그림이나 만화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활동에 흥미를 가지고 참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instructional material for nurturing students' creativity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is material on the changes of students' creativity. This material was composed of student's worksheet and a teacher's guidebook, in which are relevant to the elements of creativity and creative activities that can be applied to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of 5th and 6th grades. Student's worksheets include various creative activities: imagination, guided imagery, experimental activity, mind mapping as wrap-up, and 'let's think' as an extended activity, game, puzzle, making a cartoon, to be, role playing, and so on. These materials were applied to 5th grade science class, 156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treatment group to which developed material was applied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as a traditional lecture-centered class. After this material had been applied for 3 months, students of both groups took a test of creativity. Interviews and observation were also carried out with three level groups (higher, medium and lower level) which were divided within the treatment group based on their creativity sc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reatment group showed higher score on creativity than that of control group(p<0.01). In the result of interviews and observation, the students of the higher and the medium level accomplished their tasks by themselves better than those on lower level.All of them took an interest in visual activity. In a wrapping-up step, the higher level students made mind map more systematically and the medium students improved as time goes on, but low level students feel constrained. In totally, they used various expression methods and were interested in making drawings and cartoons creative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