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Change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Woopo and Mokpo Swamp

우포늪과 목포늪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동

  • Published : 2001.06.30

Abstract

The seasonal changes in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species composition, dominant species, species divers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Woopo and Mokpo swamps were studied from January to December, 1998. Phytoplankton of a total 353 taxa were identified, the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was characetrized by green algae and diatoms and quantity composition of standing crops was dominated by green alga Oscillatoria sp. was especially prominent. The standing crops varied from 108 cells/ml and 118 cells/ml to 19,178 cells and 38,393 cells/ml in Woopo and Mokpo swamps, respectively. The maximum algal density was observed in November, Micractinium pusillum and Oscillatoria sp. usually contributed 83.2% to total cell numbers in Woopo swamp. However, the maximum density occurred in May when Oscillatoria sp. formed bloom in Mokpo swamp. The low species diversity of the phytoplankton coincided with maximum standing crops of the filamentous blue-green alga Oscillatoria sp. and green alga Micractinium pusillum in May and November.

국내에서 규모가 가장 큰 우포늪과 목포늪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1998년 1월부터 12월까지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 현존량, 우점종, 종 다양성 및 우점도 지수 등을 조사하였다. 우포늪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조성은 녹조류와 규조류에 의해 우점되었으며, 현존량의 최고 밀도는 Oscillatoria sp.와 Micractinium psuillum이 bloom을 형성한 5월과 11월에 나타났다. 현존량의 강별 구성은 겨울을 제외한 전조사기간 동안 녹조류와 남조류가 우점하였고, 남조류는 4월부터 9월까지 그리고 11월에 높은 현존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5월과 7월에 매우 높은 우점도를 나타내었다. 규조류와 유글레나류는 1월과 2월에 현존량의 구성비가 높게 나타났으나 총 현존량이 적어 큰 의미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점종은 녹조류의 Micractinium pusillum은 가을과 겨울에 우점종으로 출현하였고, 남조류 Oscillatoria sp.가 두 정점에서 모두 4월부터 9월까지 그리고 11월에 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며,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uviatile과 Monoraphidium contortum, 그리고 Cryptomonas sp. 등이 일시적인 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나 규조류는 우점종으로 출현하지 않았다. 종 다양성은 우점도 지수와 역의 상관도를 나타내었으며, 현존량이 최고치인 Micractinium pusillum과 Oscillatoria sp.가 bloom을 형성하여 절대적인 우점도를 나타낸 5, 6월 및 11월에 종 다양성은 가장 낮았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육수학회지 v.32 소양호 동·식물플랑크톤의 계절 변동 김범철;김재욱;전만식;황순진
  2. 한국육수학회지 v.29 낙동강 수계의 6개 댐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 비교 김용재;이정호
  3. 한국육수학회지 v.30 임하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김용재;최재신;김한순
  4. 경북대학교 학위논문 창녕군 일대의 자연늪 및 저수지에 대한 담수조류의 분류생태학적 연구 김한순
  5. 한국육수학회지 v.26 no.4 창녕군 자연늪의 담수조류상 김한순;정준
  6. 한국육수학회지 v.31 가창댐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동태 김한순;최재신;김용재
  7. 한국육수학회지 v.32 대청호의 년중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동태 이정호
  8. 제주도연구 v.3 한라산 백록담의 식물플랑크톤 연구 이진환
  9. 한국육수학회지 v.20 한라산 백록담의 식물플랑크톤 분류에 관한 연구 이진환
  10. 한국식물학회지 v.17 no.2 한강의 Microflora에 관한 연구(제8보)-남한의 유일한 고층습원인 대암산 용늪의 기중조류에 대하여 정영호
  11. 자연보존 v.65 우리나라 자연늪의 현황과 보호 정영호
  12.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5 no.1 북한강의 수원인 대암산 용늪(고층습원)의 식물성 플랑크톤 정영호;김기태
  13. Proc. Coll. Natur. Sci. SNU. v.11 no.2 함안 자연늪산 물먼지말류의 분류학적 연구 정영호;이옥민
  14. Proc. Coll. Natur. Sci. SNU. v.12 no.1 함안 자연늪산 규조류의 분류 정영호;노경희
  15. 한국의 충적평야 조화룡
  16. 한국의 희귀 및 위기 동식물도감 한국자연보존협회
  17. 주남저수지 생태계 조사 환경청
  18. Kor. J. Limnol. v.31 Physico-chemical charateristics of the Woopo Wetland, S. Korea Cho, S. H.;K. Ha;Y. H. Ju;H. W. Kim;G. J. Joo
  19. Holarc. Ecol. v.9 Phytoplankton structure in different lake types in central Finland Eloranta, P.
  20. Agal culture and phytoplankton ecology. 3rd ed. Fogg, G. E.;B. Thake
  21. Microscopy v.32 The permangnate method for cleaning freshly gathered diatoms Hendey, N. I.
  22. A Treaties on Limnology v.2 Hutchinson, G. E.
  23. Arch. Hydrobiol. v.14 The measurement of photosynthetic pigments in freshwaters and standardization of methods: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 Marker, A. F. H;E. A. Nusch;H. Rai;B. Reimann
  24. Freshwater Biol. v.14 Phytoplankton periodicity: the interactions of form, function and environmental variability Reynolds, C. S.
  25. Biol. Rev. v.50 Water blooms Reynolds, C. S.
  26.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Shannon, E.;W. Weaver
  27. Arch. Hydrobiol. Beih. 7. Erhrg. limnol. v.7 System of water quality from the biological point of view Shimpson, E. H.
  28. Mitt. int. Verein. theor. angew. Limnol. v.9 Zur Vervollkommnung der quantitativen Phytoplankton-Methodik Utermohl,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