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at TM 화상자료(畵像資料)를 이용한 평택시지역 지표피복분류(地表被覆分類)

Land Cover Classification by Using Landsat Thematic Mapper Data in Pyeongtaeg City

  • 발행 : 2001.10.30

초록

Landsat TM 인공위성 자료(1997년 6월 16일 촬영)를 이용하여 평택시에 대한 지표피복분류도를 만들고 정확도를 평가하였고, 또한 우리 나라의 농업실정에 맞는 지표피복 분류체계를 세우기 위해 Anderson의 지표피복분류안을 응용하여 새로운 분류안을 만들었다. 분류방식으로는 감독분류를 사용하였는데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훈련장소(training site)의 선정을 위해 지형도, 항공사진 등과 현지 실사자료인 DGPS 자료를 사용하여 논, 밭 등 13개의 훈련조(training sets)를 작성 후 최대우도법(最大尤度法)(maximum likelihood classifier)을 적용하여 주제도를 만들었다. 이의 정확도 평가를 위해 DGPS, 항공사진, 지형도 등을 이용한 분류정확도 평가에서 전체 정확도는 86.8%이며, 카파계수가 85.4%로 매우 양호한(Excellent)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도시/촌락, 비닐하우스 등의 사용자 정확도는 60% 정도로서 낮은 편이며, 도로, 비닐하우스 등의 생산자 정확도는 70% 정도로 낮은 편인데, 이는 인공건조물이라는 특징에 따른 분광학적 반사특성과 이질성(異質性)과 분포면적이 적은데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하여 토지피복 분류도를 작성할 때 우리나라 농업실정에 알맞은 농업적(農業的) 지표피복분류안(地表被覆分類案)을 만들었는데, 수준 I에는 농경지, 산림지, 물, 불모지, 도시나 인공건조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and evaluate the land cover map using Landsat TM data in Pyeongtaeg City. DGPS data, aerial photography, topographical map were used for selection the training sets and accuracy assessment. The overall accuracy and Kappa coefficient of the land cover classification map(using supervised classification with 13 classes) with Landsat TM data(16 June. 1997) were respectively, 86.8%, 85.4%, but the user's accuracy of urban/village and vinyl-house was below 60%, and the producer's accuracy of read and vinyl-house below 70%. Maybe it was caused the spectral reflectance characteristics, heterogeneity and small distribution area on the artificial things such as urban/village, vinyl_house and road, etc. And then, the agricultural land cover classification system using remote sensing data in Korea was to classify level I and II. Level I consisted of 5 classes such as agricultural land, forest land, water, barren land, urban and built-up lan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