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pidemiologic study on the Orthodontic Patients Who Visited Department of Orthodontics, Chosun University Dental Hospital Last 10 Years(1990${\sim}$1999)

최근 10년간 조선대학교 부속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에 관한 역학적 연구(1990${\sim}$1999)

  • Yoon, Young-Jooh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Kim, Kwang-Won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Hwang, Mee-Sun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윤영주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김광원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황미선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Published : 2001.04.30

Abstract

With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change of esthetic recognition, the deman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number of orthodontic patients has been increasing so rapidly. And frequency of malocclusion was changed. So this study was done in an attempt to provide an epidemiologic study so that we can accomodate their orthodontic needs adequately and to obtain the reliable quantitative information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orthodontic patients. Distribution and trends were examined in 3,070 malocclusion patients who had been examined and diagnosed at Department of Orthodontics, Dental Hospital, Chosun University over 10 year-period from 1990 to 199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number of patients per year was increasing trend and higher visiting rate in female(56.5%) than in male(43.5%). 2. Age distribution had shown 7${\sim}$ 12 year-old group being the largest(37.9%) and each percentage of 13${\sim}$18, 19${\sim}$24, above-19, 0${\sim}$6 year${\sim}$old group was 32.0%, 19.6%, 7.1%, 3.4%. 3. Hellman dental age IVa which is completion of the permanent dentition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in male and female. 4. Geographic distribution showed a majority of patients in Kwang Ju(71.0%). Group within the distance 10km from Chosun Dental Hospital was 56.3% and group within 20km was 14.7%. 5. Anterior cross bite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in chief complaints and percentage of Mn. prognathism and protrusion of Mx. teeth was 12.6%, 12.2%. 6. Distribution in the types of malocclusion according to the Angle's classification had shown; 38.9% for Class I, 20.7% for Class II division 1, 2.0% for Class III division 2, 38.4% for Class III. 7. In the dental vertical dysplasia according to the Angle's classification, deep bite was the most frequent in Class II div.1 and div. 2(24.3%, 56.7%) and open bite in Class III(21.4%). 8. In the skeletal sagittal dysplasia, 39.3% of skeletal Class II was due to the undergrowth of the mandible and 46.3% of skeletal Class III was due to the overgrowth of the mandible. 9. Distribution in orthodontic treatment acceding to the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had shown 66.9% for nonextraction case, 33.1% for extraction case, and four first bicuspids have been extracted in the highest percentage(38.6%). 10. Patients who had orthognathic surgery comprised 7.9%, with an increasing trend.

본 연구는 부정교합 유형이나 지역 분포 및 시대적 변화 등을 파악하고 이해함으로써 환자의 적절한 의사소통을 위한 자료나 정보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절한 진단과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다가오는 21세기에 변모될 치의학을 준비하고 발전의 도약을 마련하기 위해, 향후 부정교합 치료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1999년까지 10년간 조선대학교 부속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진단받은 부정교합 환자 중 진단용 모형과 진료기록부가 잘 보존된 3,070명을 대상으로 하여 부정교합의 양상과 내원환자의 분포 및 변화추세를 조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내원환자의 수는 매년 증가 추세에 있었으며, 남자가 43.5%, 여자가 56.5%로 여자가 남자보다 약 1.3배 더 많았다. 2. 연령별 분포에서 7세에서 12세 군의 내원율이 37.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13세에서 18세 군이 32.0%, 19세에서 24세 군이 19.6%, 25세 이상 군이 7.1%, 0세에서 6세 군이 3.4%으로 가장 낮았다. 3. Hellman 치령별 분포에서 남녀 모두 영구치열의 완성기인 IVa가 54.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내원환자의 거주지 분포에서 광주시내 거주자가 내원환자의 71.0%로 10km이내가 56.3%, 20km이내가 14.7%였다. 5. 내원환자의 주소(chief complaint)별 분포에서 전치부 반대교합이 22.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악전돌은 12.6%, 상악전치전돌은 12.2%를 보였다. 6. Angle씨 부정교합 분류별 분포에서 제I급 부정교합이 38.9%, 제 II급 1류 부정교합은 20.7%, 제 II급 2류 부정교합은2.0%, 제III급 부정교합은 38.4%였으며, 남자에서는 제III급 부정교합이, 여자에서는 제I급 부정교합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7. 치아의 수직관계이상에 있어서 제II급 1류와 2류 부정교합에서는 과개교합이 24.3%와 56.7%로, 제III급 부정교합에서는 개교합이 2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8. 골격의 전후방적 부조화에 있어서 제II급 부정교합은 하악골 발육부전으로 인한 경우가 39.3%, 제III급 부정교합은 하악골 과다성장으로 인한 경우가 46.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9. 교정치료시 발치유무에 따른 분포에 있어서 발치 치료는 33.1%, 비발치 치료는 66.9%를 차지하였고, 발치치료 중 38.6%가 상하악 좌우측 제1소구치를 발거하였다. 10. 악교정 수술환자는 매년 계속 증가 추세에 있었으며, 전체 환자의 7.9%가 악교정 수술을 받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