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Environment Changes in the Keum River Estuary Due to Dike Gate Operation: III. Tidal Modulation of Low-salinity Water

하구언 수문 작동으로 인한 금강 하구역의 물리적 환경변화: III. 저염수의 조석동조

  • Choi, Hyun-Yo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RC, CRC,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Kwon, Hyo-Keun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RC, CRC,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Ho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RC, CRC, Kunsan National University)
  • 최현용 (군산대학교 해양정보과학과, 새만금환경 연구센터, 해양개발연구소) ;
  • 권효근 (군산대학교 해양정보과학과, 새만금환경 연구센터, 해양개발연구소) ;
  • 이상호 (군산대학교 해양정보과학과, 새만금환경 연구센터, 해양개발연구소)
  • Published : 2001.08.31

Abstract

To examine the movement of the freshwater discharged artificially into the estuary during ebbing period in the Keum River dike we observed surface salinity variations in three stations along the estuary channel in May 1998 and July 1997 and surface temperature and salinity along the ferry-route between Kunsan and Changhang during eighteen days in July 1999. Based upon the typical features of observed salinity variation, we analyzed the excursion and decay processes of the discharged water. When freshwater is discharged, the low-salinity water forms strong salinity front over the entire estuary width, which basically moves forth and back by tidal modulation along the channel, producing the sudden change of surface salinity with the front passage. Salinity distribution along the channel, which is deduced from time variation of mean salinity over the estuary width, after one tidal period from gate operation suggests that diluted low-salinity water is trapped to the front and surface salinity increases gradually toward the upstream region. This frontal distribution of salinity is interpreted to be produced by the sudden gate operation supplying and stopping of freshwater within about two hours. Daily repeat of freshwater discharge produces separation (double front) or merge between decaying and new-generated fronts depending on dike-gate opening time, and the front decays with salinity increasing if the freshwater supply is stopped more than two days. In addition, the observed fluctuations and deviations in surface salinity variation is explained in terms of the differences of fronts intensity, their transition time and temporal salinity front running along the channel, which can be generated due to artificial gate-operation for the discharging time and water volume in the estuary dike.

금강하구언에서 낙조동안 인위적으로 방류된 담수의 하구 내 거동을 파악하고자 1997년 5월과 1998년 7월에 각각 수로방향으로 설정된 3개 지점에서 표층 염분변화를 관측하였으며, 1999년 7월에는 군산-장항간 도선항로를 따라 18일간 표층염분과 수온을 관측하였다. 관측된 염분변화의 특징으로부터 방류된 담수가 하구 내에서 거동${\cdot}$소멸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담수가 방류되면 저염수는 하구 폭 전반에 걸친 강한 염분전선을 형성하며 담수거동은 기본적으로 조석운동에 동조되어 수로를 따라 왕래하고, 이 전선의 통과로 염분은 급격한 변화를 보인다. 수문개폐로부터 한 조석주기 이후의 하구 폭 평균염분의 시간적 변화로부터 해석된 수로방향의 공간적 분포는 전선역에 담수희석수가 응축되며 표층염분이 상류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염분의 전선역 분포는 두 시간정도의 하구언 수문 개방에 의한 급작스런 담수공급과 중단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매일 담수방류의 반복은 수문 개방시기에 의해 이전의전선과 새로운 전선의 분리(이중전선) 혹은 병합을 만들고, 담수공급이 2일 이상 중단되면 염분이 증가되며 전선이 소멸한다. 또한, 표층염분 변화에 나타나는 변동과 변이는 하구언에서 인위적으로 행해지는 담수 방류량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염분전선의 세기와 통과시기의 공간적 차이, 그리고 일시적인 하구수로 방향을 따른 염분전선 등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4 no.2 하구언 수문작동으로 인한 금강하구역의 물리적 환경변화 Ⅰ. 평균해수면과 조석 권효근;이상호
  2. 조석표 국립해양 조사원
  3. 한국해양학회지 v.22 금강하구에서의 화학적, 생물학적 제과정에 관한 연구,1. 질소계 화합물의 순환:전반적인 고찰 김경렬;기준학
  4. 석사학위논문 금강 및 금강 염하구에서 부유퇴적물의 이동과 미량금속원소들의 변화성 나태경
  5. 한국해양학회지 v.30 하계 금강 Plume의 구조와 변동 이상호;최현용;오임상
  6.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4 no.4 하구언 수문작동으로 인한 금강 하구역의 물리적 환경변화 Ⅱ. 염분구조와 하구유형 이상호;권효근;최현용;양재삼;최진용
  7. 한국해양학회지 v.18 금강 하구의 해수순환역학. Ⅰ 염분경계층의 변화성 정종률;이재학;안희수
  8. 한국수문학회지 v.18 금강 감조구간의 조석전파 최병호;안원식
  9. 한국해양학회지 v.20 금강 하구둑에 의한 조석변화의 초기추정 최병호;오형근
  10. 한국해양학회지 v.30 하구언 갑문폐쇄 후 금강하구의 물리, 퇴적학적 특성변화 최진용;최현용;서만석
  11.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4 금강하구언 대량방류시 황해 중동부 해역의 염분분포 최현용;이상호;유광우
  12. Korean Soc. Coastal and Ocean Eng. v.1 Estuary type and plume structure of the Keum River estuary.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progress in coastal engineering and oceanography. Coastal oceanography of asian seas Lee,S.-H.;H.Y. Choi;H.K. Kwon;E.J. Shin
  13. Proceedings of Korea-U.S. seminar and workshop A comparison of some characteristic sedimentation processes of estuarine entering the Yellow Sea.In:Marine geology and physical processes of the Yellow Sea Schubel, J.R.;H.T. Shen;M.J. Park;Chough. S.K.(ed.)
  14. Coastal and Estuarine Sciences v.3 Coastal and estuarine fronts. In Baroclinic processes on continental shelves Simpson, J.H.;I.D. James;C.N.K. Moore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