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의 지식관리체계 구현을 위한 주체별 역할

Works for the Implement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 정인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경영정보센터) ;
  • 김승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경영정보센터) ;
  • 조문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경영정보센터)
  • 발행 : 2001.03.01

초록

건설교통부는 지식기반 경영을 통한 건설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하여 $\lceil$건설산업의 지식기반 구축$\rfloor$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여러 주체들(정부, 연구소/대학, 기업 등)이 지식관리를 추진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없어서 건설산업의 지식관리체계 구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연구의 목표는 3005년 건설CALS/EC 구현과 함께 건설산업의 지식포털을 구축하기 위하여 건설산업 각 주체(정부, 연구소/대학, 건설업체 등)가 지식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역할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지식관리와 관련된 현황분석, 건설산업 지식관리 구현방향 제시, 건설산업 지식관리체계 구현을 위한 추진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건설산업 지식관리체계의 추진전략을 수립하여 전략을 달성하기 위한 각 주체(정부, 연구소/대학, 건설업체)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건설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선도할 지식관리체계 구현과 지식포털 구축을 위하여 건설산업의 각 주체들이 실천할 수 있는 유용한 매뉴얼이 될 것이다.

MOCT(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suggested 'A Plan for Implementation of Knowledge-based Economy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add high value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means of knowledge-based management techniques. However, there are no guidelines which help the bodie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government, research center / university, enterprise, etc) with doing a knowledge management. So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establish the knowledge portal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works, which help the bodie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government, research center/university, enterprise, etc) with doing knowledge activities efficiently.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we analyzed the overall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we suggested an implementing direction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a strategy for implementing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results of this study, we established a strategy of knowledge management and works of the bodie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government, research center / university, enterprise, etc)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manual of the bodie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for implementing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and the knowledge portal that brings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high value added industr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