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porting Geo-Workflow Management through Object Activity Model

객체행위모델을 통한 지형정보 프로세스 관리

  • Liou, Jaeik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School of Electronic and Computer Engineering, Chungbuk Nat'l Univ.) ;
  • Ryu, Keun Ho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School of Electronic and Computer Engineering, Chungbuk Nat'l Univ.)
  • 류재익 (충북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 류근호 (충북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Received : 2001.04.09
  • Published : 2001.06.30

Abstract

Management of geo-workflow's changes is one of growing issues and requires more advanced ways and methods to deal with heterogeneous modifications and interactions of process, activity and event over time. A few dominant workflow models have coped with these subjects. There is, however, little consensus for explanation of six dimensions with regard to actor, activity, space, time, reason and effect. This study begins with examining environments of six dimensions and the Hexad model is proposed to elucidate the causes and results of a wide variety of geo-processes and activities. In this paper, we will introduce Hexad Object Activity Model making it possible to interpret manifest motivations, conditions and actions. Full descriptions of six dimensions are often useful for applying to the handling of diverse activities particularly requiring to clarify actor's goal and role at a specific time and space.

지형정보 작업관리(워크플로) 연구는 중요한 관심이 되는 분야 중에 하나로 시간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사건, 행위 그리고 프로세스들의 상호작용 및 변경 등을 처리할 수 있는 방법 및 모델이 요구된다. 기존의 많은 워크플로 프로세스 모델이 있지만, 육하원칙에 의거하여 행위자의 시간과 공간적 행위 또는 사건을 해석하려는 시도가 많지 않은 듯하다. 이 연구는 6가지의 조건을 조사하고 객체지향적인 헥사드 행위 모델을 제시하여 지형정보 프로세스 및 행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행위자의 다양한 행위의 원인과 결과를 시공간 개념과 연계하면, 육하원칙의 자세한 분석은 공간의 변화나 공간정보 흐름을 파악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