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der Differences in Pain in Cancer Patients

성별에 따른 암환자의 통증 차이

  • Kim, Hyun-Sook (Department of Elderly Health and Welfare, Chongjui National College of Sciene & Technology) ;
  • Lee, So-Woo (College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un, Young-Ho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National Cancer Center) ;
  • Yu, Su-Jeong (Department of Nursing, Woosuk University) ;
  • Heo, Dae-Seog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1.06.30

Abstract

Purpose : To determine whether there exist gender differences in pain in Korean cancer patients and whether the depression and performance that are often expressed differently between men and women with cancer interact with pain. Method : The results of survey were collected from 140 in- and out-patients (78 male and 62 female) who had cancer treatment at one of th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for four months from February of 1999. The severity and interference of pain were examined with the self-reported survey based on Korean version of Brief Pain Inventory (BPI-K). Demographic and clinical information for all patient were compiled by reviewing their medical records, and the level of depression was examin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K). Usual statistical methods, e.g., frequences, means and SDs were used to characterize the sample. The chi-square tests for categorical data and t-test for numerical data were used for group comparis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ere perform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ts : 1) The mean scores of the worst pain for last 24-hours measured with the pain severity of BPI-K were 5.77 in male and 6.45 in female. The pain interference of BPI-K in men was in the order of mood (5.49), enjoy (5.36), and work (5.00), and in women were work (7.48), enjoy (7.16), and mood (6.53). 2) In pain severit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average pain for last 24-hours (t=-2.130, P=.035). In pain interferenc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men and women in activity (t=-2.450, P=.015), mood (t=-2,321, P=.022), walk (t=-2.762, P=.007), work (t=-4.946, P=.000), relate (t=-2.595, P=.010), sleep (t=-2.071, P=.040), enjoy (t=-3.198, P=.001). 3) It was found that the items of pain and depression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in men but not in women. Men also exhibited higher correlation in the items of pain and performance status than women. Conclusions : Women report significantly greater average pain for last 24-hours and for all items of pain interference than men. Pain and depression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in 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ender differences in pain should be considered for planning effective pain management program.

목적 : 통증에 있어서의 성별차이에 대한 연구결과에 있어서 일치하지 않고 있다. 이에 암환자를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통증정도를 살펴보고, 통증과 우울 및 활동도의 상호작용에 있어서도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지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방법 : 1999년 2월부터 6월까지 서울소재 S대학교 병원 혈액종양내과에 입원 또는 외래치료중인 암환자 140명(남성 78명, 여성 6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통증정도는 한국판 간이 통증 평가도구(BPI-K), 우울은 한국판 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이용한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되었고, 기타 인구학적 및 임상학적 자료는 의무기록 열람 및 주치의의 의견을 참조하여 수집되었다. 대상자를 서술하기위해 빈도,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집단간 비교에서 불연속척도는chi-square test를 하였고, 연속척도는 t-test를 하였으며, 변인간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결과 : 1) 통증의 중증도의 경우 통증정도가 24시간 동안 가장 심했을 때 통증 평균은 남성이 5.77점, 여성이 6.45점이었다. 통증으로 인한 지장정도는 남성의 경우 기분(5.49점), 인생을 즐김(5.36점), 통상적인 일(5.00점)이 순이었으나, 여성의 경우는 통상적인 일(7.48점), 인생을 즐김(7.16점), 기분6.53점) 순이었다. 2) 통증의 중증도의 경우 24시간 동안 평균 통증정도(t=-2.130, P=.035)에서 남성과 여성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통증으로 인한 장애정도에서는 활동(t=-2.450, P=.015), 기분(t=-2,321, P=.022), 보행 능력(t=-2.762, P=.007), 통상적인 일(t=-4.946, P=.000), 대인관계(t=-2.595, P=.010), 수면(t=-2.071, P=.040), 인생을 즐김(t=-3.198, P=.001)에서 남성과 여성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통증과 우울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통증의 중증도에서 남성의 경우 24시간동안 가장 심했을 때 통증정도와 우울(r=0.323, P<.05), 평균 통증정도와 우울(r=.236, P<.05) 및 조사당시 바로 지금 느끼는 통증정도와 우울(r=0.248, P<.05)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만 여성에서는 조사당시 바로 지금 느끼는 통증정도와 우울(r=.250, P<.05)만이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통증으로 인한 지장정도의 경우 남성은 모든 항목과 우울간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만 여성에서는 전 항목과 우울간에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통증과 활동성 정도와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통증의 중증도에서 남성의 경우 24시간동안 가장 심했을 때 통증정도와 활동성 정도(r=0.378, P<.05), 평균 통증정도와 활동성 정도가(r=.330, P<.05)가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여성에서는 활동성 정도와 통증의 중증도는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관계를 제외한 모든 항목의 통증으로 인한 지장정도와 활동성 정도가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만 여성에서는 보행 능력, 통상적인 일, 인생을 즐김 항목과 활동성 정도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암환자의 통증정도 및 지장정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으며, 통증과 우울 및 활동도와의 상관관계에서 차이를 보였다. 앞으로 암성통증 관리 대책 수립시 여성과 남성의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