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ival and Growth Responses on Jumping of the Each Saline Concentrations of Freshwater Cladoceran Moina macrocopa and Estuarine Cladoceran Diaphanosoma celebensis

담수산 물벼룩 Moina macrocopa과 기수산 물벼룩 Diaphanosoma celebensis의 염분 농도별 점프 이동에 대한 생존 및 증식 반응

  • Jung Min-Min (South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KIM Hyeung-Sin (Lab. of Phytoplankton Ecology, Department of Oceanography, Yosu National University) ;
  • RHO Sum (Faculty of Applied Marine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정민민 (국립수산진흥원 남해수산연구소 증식과) ;
  • 김형신 (여수대학교 해양학과 부유생물생태학연구실) ;
  • 노섬 (제주대학교 해양생산과학부)
  • Published : 2001.11.01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at the survival and growth responses of freshwater cladoceran Moina macrocopa and estuarine cladoceran Diaphanosoma celebensis on the saline culture conditions after transferring for using as live food organism. Estuarine cladoceran D. celebensis was survived and grew on the all salines except to saline jump culture condition of 0 ppt. However, freshwater cladoceran M. mcrocopa was died or decline on the over saline jumping culture conditions of 4 ppt within 5 minutes. These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estuarine cladoceran D. celebensis compare with freshwater cladoceran M. macrocopa as a substitute live food organism for Artemia in the marine larval rearing.

단순 구성된 동물 먹이생물 급이 계열 (로티퍼-알테미아)을 이용하는 해산어의 종묘 생산 과정에서는 알테미아 수급 불균형 및 가격 파동 발생으로 알테미아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먹이생물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알테미아 대체 먹이생물로서 담수산 물벼룩 M. macrocopa과 기수산 물벼룩 D. celebensis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일환으로 해수에서의 반응 결과 (생존과 증식)를 알아보았다. 담수산 물벼룩 M. macrocopa과 기수산 물벼룩 D. celebensis을 이용하여 배양 환경으로서 다양한 염분 조건으로의 점프 이동 후 두 종 물벼룩의 생존과 증식 반응을 관찰하기 위하여 16일간의 실험 기간 중 매일의 증식 상태와 단시간 생존율을 관찰하였다. 이 연구 결과, 기수산 물벼룩 D. celebensis는 0 ppt의 염분 배양 환경을 제외한 전 실험구에서 비교적 양호한 생존과 증식 반응이 관찰된 반면, 담수산 물벼룩 M. macrocopa은 염분 농도 4 ppt 이상의 점프 이동 환경하에서는 섭이 행동과 유영 행동이 급속히 둔화되면서 증식은 물론 생존조차도 불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담수산 물벼룩 M. macrocopa의 단시간 생존율을 관찰한 결과에서는 3 ppt 이상의 염분 농도로 점프 이동한 경우에는 점프이동 후 5분 이내에 일부 사망 개체가 발생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 기수산 물벼룩 D. celebensis은 담수산 물벼룩 M. macrocopa과는 달리 현재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 코페포 다와 함께 해산어의 종묘 생산 과정에서 알테미아의 대체 먹이생물로 연구를 진행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