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Initial Concentration and Moisture Content on the Removal of Phenol in Soil

초기농도 및 수분함량이 토양내 페놀의 제거에 미치는 영향

  • Namkoong, Wa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 Park, Joon-Seo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 In, Byung-Ho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 Lee, Noh-Sup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 Hwang, Eui-Young (Institute of Technology, Kyong-Ho Engineering Co., Ltd.)
  • 남궁완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박준석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인병훈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이노섭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황의영 (경호기술단 부설기술연구소)
  • Received : 2001.04.25
  • Accepted : 2001.05.15
  • Published : 2001.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itial concentration and moisture content on removal of phenol in soil. Texture of soil used was sandy loam. Air was supplied at the rate of $31{\ell}/m^3$(soil)/min. Initial phenol concentrations of contaminated-soils were about 700mg/kg and 1,200mg/kg(as dry weight basis), respectively. Low phenol concentration (about 700mg/kg) was degraded more rapidly than high concentration (about 1,200mg/kg). After phenol concentration of 1,200mg/kg was decreased to about 700mg/kg, its degradation was similar to the case of initial phenol concentration of about 700mg/kg. Phenol degradationrate rate of 15% soil moisture content was higher than that of 20%.

본 연구는 페놀오염토양에 공기를 공급하여 호기성조건하에서 정화시 초기오염농도 및 수분함량이 페놀의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기는 $31{\ell}/m^3$(토양)/min으로 공급하였다. 초기 오염농도는 건조질량기준으로 700mg/kg과 1,200mg/kg이었다. 1차 반응모델에 적용한 결과 초기농도가 약700mg/kg인 경우 반감기가 3.7일, 반응속도상수 K가 0.19/day(r=0.90)이었고 초기농도가 약 1,200mg/kg인 경우에는 반감기가 9일, K가 0.08/day(r=0.96)로 저농도인 약700mg/kg이 더욱 빠른 분해를 보였다. 고농도의 페놀일 경우라도 농도가 저농도와 유사한 농도 약 700mg/kg)로 감소한 후에는 초기농도가 약700mg/kg이었던 경우와 비슷한 분해특성에 따라 제거가 되었다. 초기농도가 약 700mg/kg 으로 오염된 페놀오염토양은 21일 운전 결과 토양수분함량이 15%인 경우의 분해율이 99%로 20%인 경우의 87%보다 우수하였다. 토양수분함량이 15%인 경우와 20%인 경우의 1차반응속도 상수 K값은 각각 0.19/day(r=0.90)와 0.09/day(r=0.96)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