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SCALE FOR ADHD IN ADOLESCENTS:RELIABILITY AND VALIDITY FOR CASS(S)

청소년 ADHD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CASS(S)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Shin, Min-Sup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s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 Cho, Soo-Churl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s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 Hong, Kang-E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Bahn, Geon-Ho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신민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학교실) ;
  • 조수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학교실) ;
  • 홍강의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반건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1.12.31

Abstract

Althoug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has been considered as the disorder occurring during childhood, the prevalence is increasing among adolescents and adults. The prevalence rate varies from 2.0 to 14.3% due to the difference of diagnostic criteria, different assessment methods, or subjects' age difference. Therefore, it needs to make age specific(i.e., for children, for adolescents, and for adults) assessment tools. Authors translated Conners-Wells Adolescents Self-Report Scales(short form)[CASS(S)] in to Korean to get validity and reliability as a way of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 for adolescent with ADHD in Korea. CASS(S) was translated and corrtected by three psychiatrists and one clinical psychologist. To examine the concurrent validity and test-retest validity, CASS(S) was applied with K-YSR on one class of each grade in a middle school in Seoul with two week interval(total 115:male 58, female 57). To test validity, authors analysed and got Cronbach's as internal consistency. Construct validity was done by principal axis factor analysis on 4,354 students. As a result, Cronbach's alpha for internal consistency was .88, Pearson coefficient for test-retest reliability .83, and coefficient for concurrent validity .65. And in the factor analysis to examine construct validity, three factors were revealed as cognition, hyperactivity, and conduct. These results shows that CASS(S) may be useful tool for adolescents with ADHD, although there was a limit not to be done the comparison with clinical groups.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ADHD)는 소아질환으로 생각되었으나, 청소년과 성인에서도 문제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환의 유병율이 2.0~14.3%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질병 정의 기준의 차이, 평가방법의 차이 외에 연구대상자의 연령 차이 때문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소아, 청소년, 성인을 대상으로 각각 적용가능한 ADHD 평가도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에게 사용가능한 ADHD 유병율 평가도구의 개발을 위하여 Conners-Wells' Adolescent Self-Report Scale(Short Form)[CASS(S)]을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CASS(S)는 세 명의 정신과 전문의와 임상심리전문가 한 명이 번안, 수정하였다. 공존타당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기 위하여 K-YSR 중 주의력 관련 9문항과 번안된 CASS(S)를 서울 시내 중학교에서 학년당 한 학급씩 선택하여 삼 개 학년에게 2주 간격으로 실시하였다(총인원 115명:남학생 58명, 여학생 57명). 신뢰도 평가를 위하여 내적일관성을 나타내는 Cronbach's alpha를 구하였다.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을 위한 검사대상은 전국의 중고교생 4,354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공존타당도를 알아보는 상관계수는 .65(p<.01),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알아보는 Pearson 상관계수는 .83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내적 일관성은 Cronbach's alpha .88로 만족할만한 수준이었다. 요인분석 결과 품행문제, 과잉행동문제, 인지문제의 세 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