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식품조사에 관하여 1 - II.세계 각나라의 방사선 식품조사 관련 연구$\cdot$개발 실태 및 우리나라 수의$\cdot$축산분야의 현황

  • 김희선 ("한국전력공사, 방사선보건연구센터) ;
  • 운재호 (국립 수의과학검역원)
  • Published : 2001.05.05

Abstract

제2차세계대전 전후에 시작된 식품조사에 관한 연구-개발 노력은 이미 결실단계에 들어서, 여러나라에서 다수 품목이 실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에 식품조사에 관한 이용성과 실용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방사선 조사를 식품에 적용하기 위해서 해결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산더미처럼 쌓여있는 것이 현실이다. 전리방사선에 의해서 처리된 식품의 안전성과 잇점에 대해서는 많이 보고되고 있다. 식품 방사선 조사에 대한 최근의 흐름을 보면 방사선 조사량이 증가되고, 대상 품목도 점점 확대되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안정성에 대하여 새롭게 검토하여야 할 측면이 많아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국제연합식료농업기구(FAO),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원자력기관(IAEA)가 합동으로 설립한 국제식품조사고문그룹(ICGFI)은, 1990년 이후 식품조사기술의 안전성과 적절한 이용에 대하여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ICGFI가 1993년에 발행한 책자를 기초로 하여, 세계 여러나라의 연구-개발상황과 실용화 수준, 식품조사 이용의 주요한 문제점을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우리나라 수의분야에서의 현황에 대하여 간단히 생각하여 보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