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교합아동의 Downs 분석법에 의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A CEPHALOMETRIC STUDY BY DOWNS ANALYSIS IN THE CHILDREN WITH NORMAL OCCLUSION

  • 최남기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 정병초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 양규호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Choi, Nam-K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Jeong, Byung-C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Yang, Kyu-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2.08.31

초록

대부분의 악악면 부조화는 혼합치열기에 시작되는데 혼합치열기는 영구치열에서 이상적인 교합을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시기에 교합유도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표준치가 중요하다. 따라서 소아치과영역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정교합치료에 참고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Downs 분석법에 의한 표준치가 과거와 비교해서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인종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정상교합에 해당하는 혼합치열기 아동을 대상으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표준치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owns 분석법에 의해 한국인 성장기 아동의 연령군별 남녀별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계측치의 기준치를 설정하였다. 2. 각 군에서 계측항목별로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교합평면각, 상하악중절치각, 하악중절치와 교합평면이 이루는 각, 상악 중절치와 A-Pog간의 거리에서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안면각, AB plane angle, Y-axis, 하악중절치와 교합평면이 이루는 각, 하악중절치와 하악평면이 이루는 각, 상악중절치와 A-Pog간의 거리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커졌으며, angle of convexity, 하악평면각, 교합평면각, 상하악중절치각등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4. 인종간 비교시 본 연구 결과가 백인과 그리스인보다 상하악절치각만 작았을 뿐 모든 계측치에서 전반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일본, 이스라엘 흑인, 중국인과는 모든 항목에서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cephalometric standards in Downs analysis and to compare them with other races. The lateral cephalograms of 88 Korean children (47 boys, 41 girls) with normal occlusion and acceptable profile between 7 and 11 years of age were taken and Downs analysis was done. Results were as follows: 1. Norms of Korean boys, girls and both sexes at 7, 9, 11 years of age by Downs analysis were established. 2.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about ten measurements in each group, b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cclusal plane angle, lower 1 to occlusal plane angle, interincisal angle, upper 1 to APog plane among 3 groups(p<0.05)(p<0.01). 3. Facial angle, AB plane angle, Y-axis, lower 1 to occlusal plane angle and lower 1 to mandibular plane angle showed increasing tendency whereas angle of convexity, mandibular plane angle, occlusal plane angle and interincisal angle did decreasing tendency according to aging. 4. In comparison among races, measurements in Korean children were generally larger than those of Caucasian and Greek except for small interincisal angle, but Korean were similar to Japanese, Chinese, Israeli, Negro about all measurem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