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ROASTED BARLEY TEA ON THE ADHESIVE PROPERTIES ON SALIVA-COATED HYDROXYAPATITE BEADS OF CARIOGENIC MUTANS STREPTOCOCCI

보리차(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가 수산화인회석에 대한 우식유발성 세균의 부착에 미치는 영향

  • Kim, Young-Ja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Dental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Chong-Chu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Dental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Kack-Kyun (Department of Oral Microbiology and Immunology, Dental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영재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학연구소) ;
  • 김종철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학연구소) ;
  • 김각균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미생물학교실,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학연구소)
  • Published : 2002.11.30

Abstract

Effect of the roasted barley tea in commercial markets on the adherence to the saliva-coated hydroxyapatite(HA) beads and the cell surface hydrophobicity of Streptococcus mutans and Streptococcus sobrinus as cariogenic microorganism was examined in vitro. Adherence activity and hydrophobicity in bacteria tested in all the barley tea samples decreased and the valu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tea and the type of treatment. The inhibition of bacterial adsorption to HA beads suggest that barley tea active molecules as catechins and melanoidins may adsorb to a host surface, preventing the tooth receptor from interacting with any bacterial adhesions. The obtained results showed that the barley tea may inhibit bacterial adherence, the first step of the pathogenesis of dental caries in which these microorganism are involved.

시판되는 보리차 3종(티백형 2종 알곡형 1종)이 우식유발 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와Streptococcus sobrinus가 타액피복 수산화인회석에 부착되는 정도와 이들 세균의 체표소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였다. 모든 실험군에서 보리차로 처리하였을 때 수산화인회석에의 부착능과 세균의 체표소수성은 감소하였고 이 값은 보리차의 종류와 처리방법에 따라 상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보리차에 함유된 활성성분인 catechins와 melanoidins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며 보리차로 전 처리한 수산화인회석에 세균이 부착하는 정도가 감소한 것은 활성물질이 흡착되어 치아표면의 수용체가 세균의 부착소와 작용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치아우식증 병인론의 초기 단계인 부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 보리차가 우식유발 세균의 주요 독력인자 중 하나인 부착능을 억제하므로 보리차가 이러한 세균이 일으키는 치아우식증을 억제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