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bibliography' in Korea. By utilizing citation analysis methods, total 1,321 cited references of the 51 articles published by ${\ulcorner}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lrcorner}$ in 2000 and 2001 are analysed. This analysis is focused on an article's subjects and authors'occupations, the numbers and journal categories of its cited references. Also, this study observes the nationalities and languages of cited references and various items related to authors of cited references. The most of findings of this study are similar to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it could find that there are minor differences from the existing literatures, in respect to subject areas, the number of cited references and the forms of cited references. In conclusion, this study recommends that bibliographers's collaborative works with related fields such as history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eed to be strengthened, and that qualitative apaches as well as citation analysis methods might be beneficial for further expansion of academic scope of 'bibliography'.
본 연구에서는 새 천년과 함께 지식기반사회에서 한국의 서지학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가장 최근자료인 2000년과 2001년도에 서지학회에서 발간한 ${\ulcorner}서지학연구{\lrcorner}$ 19.20.21.22집에 재된 51편의 논문과 그 논문에서 인용한 1,321개의 인용문헌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변수는 논문의 주제와 저자관련사항, 참고문헌의 유형과 수, 학술지의 종류, 참고문헌의 발행국과 언어, 인용저자 사항 다섯 개의 분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이전의 관련 연구들과 크게 두트러진 점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많이 다루어진 주제 분야, 인용문헌수, 인용된 문헌의 형태에서 다소 차이점은 보이고 있다. 따라서 아직은 서지학의 인문학적인 성격은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지학의 발전을 위하여 역사학 분야의 연구가 병행되어야 하며 인용분석 방법론 외에도 질적인 연구방법론도 병행되기를 제안한다. 또한 서지학 외의 문헌정보학 분야와의 교류 및 공통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