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Ginsneg Powder on Pulverizing Methods

분쇄방법에 따른 고려홍삼분말의 품질특성

  • Seo, Chang-Hoon (Korea Ginseng Corp.) ;
  • Lee, Jong-Won (Korea Tobacco & Ginseng Central Research Institute) ;
  • Do, Jae-Ho (Korea Tobacco & Ginseng Central Research Institute) ;
  • Chang, Kyu-Seob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In this study, cell cracker method as a non-collision method was evaluated for the possibility in manufacturing red ginseng powder. In color value of red ginseng powder, the L values indicating brightness were 68.18 for hammer mill (group A) and 72.08 for cell cracker (group B). The a values (redness) and b values (yellowness) were 4.21 26.56 for group A and 5.73, 28.36 for group B, respectively. As an extraction time increased, the absorbances at 420 nm of water extract of both groups were increased. In the loose bulk density, tapped bulk density and volume reduction radio indication the of powder in group A were less than those in group B. In both groups, the angles of side of red ginseng powder were shown less value than the angles of side of the powder. These two angles in group A were lets than those in group B. In sensory evaluation, the touchness between both groups was, not observ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ary, the color and flavor, main factors affecting the overall quality of red ginseng powder product of group B were shown superior to those of group A. The overall preference of group B was shown higher than that of group A.

홍삼 분쇄의 신 가공 기술로서 비충격(非衝擊)분쇄방식인 cell cracker의 공장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홍삼분말의 품질고급화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기존의 hammer mill(충격분쇄방식)과 cell cracker에 의한 분쇄방식으로 홍삼분말을 제조한 후 색도, 밀도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홍삼분말의 색도는 cell cracker로 분쇄한 홍삼분말의 경우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은 68.15로 hammer mill로 분쇄한 홍삼분말 72.08 보다 낮았으나 a(적색도) 와 b(황색도)값은 각각 4.21과 5.73, 26.56과 28.36으로 높게 나타났다. 물 추출물의 색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두 가지 시료 모두 흡광도가 증가하였으며 전반적으로 hammer mill로 분쇄한 홍삼분말이 cell cracker로 분쇄한 홍삼분말 보다 흡광도가 높게 나타났다. 밀도는 분말의 유동성 특성을 나타내는 이완겉보기밀도, 충격겉보기밀도, 체적감소율은 hammer mill로 분쇄한 홍삼분말보다 cell cracker로 분쇄한 홍삼분말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미Rm럼각은 쌓임각 보다 낮았으며 이 두 가지 모두 hammer mill로 분쇄한 홍삼분말 보다 cell cracker로 분쇄한 홍삼분말이 낮게 나타났다. 관능검사결과 촉감에 있어서는 두 시료간에 유의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홍삼분말 제품의 품질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색도는 cell cracker가 좋게 평가되었으며, 전체적인 선호도에 있어서도 좋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홍삼분말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요소로서 분쇄방법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홍삼분말의 제조에는 분쇄기 선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특히 색깔 등 관능적 품질이 강조되는 홍삼분말 제품을 제조할 경우는 기존 충격식 분쇄보다 비충격식 분쇄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 품질향상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Kim, D. W., Chang, K. S., Lee, U. H. and Kim, S. S.: Korean J. Food Sci. and technol. 28, 1146-1150 (1996)
  2. Park, D. J., Ku, K. H. and Kim, S. H. : Korean J Food Sci. and technol. 28, 497-505 (1996)
  3. Ko, J. W., Lee, W. Y., Lee, J. H., Ha, Y. S. and Choi, Y. H. : Korean J Food Sci. and technol. 31, 128-137 (1999)
  4. Park, Y. K., Seong, H. M., Nam, Y. J. and Shin, D. H. : Korean J. Food Sci. and technol. 20, 504-510 (1988)
  5. Lee, Y. T., Seog, H. M., Cho, M. K. and Kim, S. S. : Korean J. Food Sci. and technol. 28, 1078-1083 (1996)
  6. Kum, J. S., Lee, S. H., Lee, H. Y., Kim, K. H. and Kim, Y. I. : Korean J. Food Sci. and technol. 25, 546-551 (1993)
  7. 송재철, 박현정 : 최신식품가공학, 유림문화사 105-120 (1997)
  8. 강석호 : 분체공학, 회중당 (1995)
  9. 손태화, 성종환, 강우원, 문광덕 : 식품가공학, 형설출판사, 31-41 (1997)
  10. Hydro (german) : The documentation of Cell cracking plant 60/300 (1995)
  11. ASTM committee: D-1925-70, D-I729-607, America Society for Testing & Materials, Phildelphia D-1925-70, D1729-607 (1975)
  12. Pleg, M. : Physical characteristics of food powders. 292-323 (1982)
  13. 송재철, 박현정 : 식품물성학, 울산대학교 출판부, 63-79, 216-237 (1995)
  14. Howard, M.: Food texture. 3-93 (1991)
  15. Baker, G. W. : J. Food Sci. 45, 1370-1375 (1986) https://doi.org/10.1111/j.1365-2621.1980.tb06557.x
  16. Kum, J. S., Lee, H. Y. : Korean J Food Sci. and technol. 31, 1542-1548 (1999)
  17. 서창훈 : 분쇄방법에 따른 홍삼분말의 품질특성, 충남대학교 석사논문 (2001)

Cited by

  1.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ax ginseng C. A. Meyer with Steaming Heat and Wet Grinding Conditions vol.39, pp.7, 2010, https://doi.org/10.3746/jkfn.2010.39.7.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