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의생활 교육내용의 계열화에 관한 연구

  • 박일록 (원광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 이은희 (원광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2.04.01

Abstract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and to systemize its curriculum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Every time the official curriculum is updated. the suggestion that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be systematized never fails to come forth. Unfortunately. it's a fact that there are still insufficient grounds to base this opinion on. and that adequate research has not yet been done in this particular field. Therefore. basic research must be performed in order to systematize the substance of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Keeping this in mind. the following study strives to find appropriate methods of conducting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while attempting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future organization and selection of content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e materials have been sorted into three categories : First of all. what sort of concepts is being taught in the subject of clothing and textile. and are the chapters constructed so that different schools can maintain consistency among them\ulcorner Second, how has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been done so far and is the contents correctly synchronized with the students'development\ulcorner Third. haw is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utilized in real life. and has it actually been systematized in a way that encourages practical utilization\ulcorner This study has mostly been done through the research of various documental resources. Also. the analysis has been performed using the systematic contents analysis method. The main results of obtained this study are as follows : As the concepts of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school, has not completely been systematizied. Also. as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has not correctly synchronized with the students'development. am it has not actually been systematized in a way that encourages practical utilization. Since this study has touched only limited research on the topic of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it is essential that further research covering a wider array of themes be done in the future.

Keywords

References

  1. 고등학생 가정 교과서 강신주 외 6인
  2. 증거운 가정 일반교과서 강한월 외 6일
  3. 즐거운 가정일반 교과서 강한월 외 6인
  4.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해설
  5. 고등학교 실업·가정과 교육과정 해설(I)
  6.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
  7. 실과 3·4·5 교과서
  8.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김기수 외 6인
  9.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김은애 외 6인
  1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학술대회자료집 제7차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김정자
  11. Dewey 진보주의 교육과 생장이론 김재만
  12. 교학도서 교육과정 해설
  13. 실과 4·5·6 교과서
  14. 실과 4·5·6 교과서
  15. 실과 4·5·6 교과서
  16. 중학교 가정 1·2·3 교과서
  17. 중학교 가정 1·2 교과서
  18. 교육연구방법론 박도순
  19. 대한가정학회지 v.36 no.2 가정과 교사의 Brown에 의해 분류된 가정과 교육과정 모형 선호도 교육과정 모형을 결정하는 요소를 중심으로 백은희;채정현
  20.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서병숙 외 6인
  21.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서병숙 외 6인
  22.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서병숙 외 6인
  2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6 no.1 중·고등학교 가정과목 의생활 분야 교육내용연구 학생. 교사. 전공 교수의 요구도 분석. 성화경
  24. 중학교 가정 1·2 교과서 성화셩 외 5인
  25.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성화경 외 6인
  26.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유송옥 외 7인
  27.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유송옥 외 7인
  28.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유송옥 외 7인
  29.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유송옥 외 7인
  30. 중학교 가정 1·2 교과서 윤인경 외 6인
  31.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윤인경 외 5인
  32. 교육과정연구 v.7 지식에 의한 교육과정 내용의 통합 이경섭
  33. 교육과정 쟁점 연구
  34. 교육과정 이론·계발·관리 이경섭;이홍우;김순택
  3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8 no.1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영역별 필요도 이금남;김행자;안영희;이남기
  36. 중학교 가정 1·2 교과서 이기춘 외 4인
  37. 중학교 가정 1·2 교과서 이승신 외 4인
  38.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이승신 외 6인
  39.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이승신 외 6인
  40. 중학교 가정 1·2 교과서 이순원 외 4인
  41.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이영숙 외 6인
  42.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이용안 외 6인
  43. 박사학위논문 初等學校 實科 敎育의 槪念에 關한 硏究 이은희
  4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6 no.1 초·중·고등학교 의생활 교육과정의 체계정립 및 필요성 조사연구 이은희;전경란
  45.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이인희 외 6인
  46. TYLER 교육과정과 수업의 원리 이종승
  4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6 no.1 고등학교 남학생에 대한 가정과교육의 필요도에 관한 조사연구 임애용;윤인경
  48. 중학교 1·2 교과서 임원자 외 7인
  49. 고등학교 표준 가정일반 교과서 장명욱 외 4인
  50. 인문계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장명욱 외 9인
  51.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장명욱 외 9인
  52.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장정욱 외 7인
  53.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장정옥 외 7인
  5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7 no.2 중학교 가정교과서 식생활 및 의생활 단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활용 장현숙;조필교
  55. 교육학 대백과사전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전성연;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편
  5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6 no.2 Piaget의 인지발달론에 기초한 국민학교 실과교과 내용분석(I) 만들기 영역을 중심으로 정미경
  57.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정성봉 외 7인
  58. 중학교 가정 1·2 교과서 조규화 외 7인
  59. 인뭉계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주월영 외 6인
  60. 중학교 가정 1·2 교과서 최영희 외 5인
  61. 표준 중학가정 1·2·3 교과서 표경조 외 7인
  62. 한국가정과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자료집 v.9-10 제7차 교육과정에서 기술·가정 교과설정의 배경 허경철
  6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7 no.2 중학교 가정과 학습내용에 대한 예비중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황선자;정영숙
  64. 한국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회 학회지 v.11 no.27-49 21세기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의 기본 방향 모색 구성주의에 기초하여 초등교육 연구 황윤한
  65. 열린교육학회 98 춘계 학술발표대회 v.11-28 21세기를 위한 교육과정 철학. 열린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발전 방향.
  66. The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A Conceptual Scheme and Decision Rules for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Content. Brown M.M.
  67. Home Econimics Brown M.M.;B. Paolucci
  68. The Process of Education Bruner J.S.
  69. Democracy and Education Dewey J.
  70. The Curriculum and the Disciplines of Knowledge King A.A.;Brownell J.A.
  71. Knowledge and the Curriculum Hirst P.H.
  72. The conditions of learning(2nd ed.) Gagne R.M.
  73. The psychology of the child Piaget J.;Inhelder B.
  74. Memory and intelligence Piaget J.;Ingelder B.
  75.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44 no.4 The extensiveness of curriculum structure A conceptual scheme Posner G.J.
  76.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46 no.4 A categorization scheme for principles of sequencing contents Posner G.J.;Strike K.A.
  77. Scope and sequence decisions for quality instruction Reigeluth C.M.
  78. Educational and the Structure of knowledge Problem, Topics and Issues. Schwab J.J.;Stanley Elam(ed.)
  79. Theory and Practice Curriculum Development Taba H.
  80.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Tyler R.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