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this study, the bacterial communities distributed in sea water of the whitening areas of Gangjeong and Seongsan, Jeju-do have been analysed using the PCR amplification of 16S rRNA to obtain fundamental data and information on relationship of the whitening phenomenon and microbial ecosystem. In Gangjeong, diverse bacteria such as Alcanivorax, Paracoccus, Damselae, Pseudomonas, Rhodowlum, Silicibacter, Suiftobacter, and Roseobacter have been found, and Alcanivorax was the most abundant clone. The most abundant clone from Seongsan was Pseudomonas, of which Pseudomonas tolaasii and Pseudomonas mandeli were most abundantly occurred in the frequency of approx44% and 24%, respectively. Approx4% of the bacterial clones closest to Verrucomicrobiales and other unidentified clones were also fecund in Seongsan, suggesting there is a great discrepancy between bacterial communities from the whitening areas of Seongsan and Gangjeong. The mean temperature, chlorine concentration, pH, and dissolved oxygen (DO) of the sea water of Gangieong and Seongsan in August of 2001 (sampling period) was $27^{\circ}C$~$27.5^{\circ}C$, 30.24~30.60%, pH 8.23~8.36,7 .20~7.28 mg/ι, suggesting other environmental factors except far the factors mentioned above might result in difference of bacterial communities distributed in both areas.
본 연구에서는 갯녹음(백화)현상이 세균생태계와 어떤 관련 이 있는 지에 대한 기초자료 및 정보를 얻기 위하여 갯녹음 현상이 일어난 제주도 성산과 강정지역 연안의 해수에 존재하는 세균군을 16S rRNA중폭기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강정지 역에서는 Alcanivorax, Paracoccus, Damselae, Pseudomonas, Rhodovulum, Silicibacter, Sulfitobacter, Roseobacter등 다양한 종류의 세균이 분포되어 있었으며, Alcanivorax가 20%의 빈도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반면, 성산 지역에서는 Pseudomonas속 균주가 우점종으로서 존재하였으며, Pseudomonas tolaasii (혹은 Pseudomonas corrugata)와 유연관계가 가까운 세균은 44%, Pseudamonas mandeli와 가까운 세균이 24%, Verrucomicrobiales와 가까운 세균은 4%,기타 동정되지 알은 세균은 세 group으로 구분되었으며, 각각 8%,8%, 12%를 차지하여, 두곳에 분포되어 있는 세균군상이 상당한 차이점 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갯녹음 지역인 강정과 성산 해수의 8월(표품 채집시기)의 수온은 $27^{\circ}C$~$27.4^{\circ}C$, 염분의 농도는 30.24-30.60%, pH는 8.23~8.36,용존산소량(DO)은 각각 7.20~7.28로, 두지역에서 매우 비슷한 것으로 조사된 바 있는 데, 이는 수온이나 염분의 농도, 또는 pH보다는 다른 원인에 의하여 두 갯녹음 지역에 분포하는 세균군의 차이를 가져왔음을 제시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