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of Cyanogenic Glucosides in Processed Foods and during Ripening of Ume According to Varieties and Picking Date

매실품종과 수확시기별 및 매실가공식품의 시안화합물의 변화

  • Published : 2002.03.01

Abstract

Variations of cyanogenic glucoside was investigated on varieties, picking date, each part and processed flood of Ume. First, variation of amygdalin contents was determined by HPLC during ripening. As a result in case of peels, Oshuku showed most highest content(20.2 mg%) in all varieties. In case of seeds, Native species showed most highest content(562 mg%), and seeds contented more than peels. And then, variation of prunasin contents was determined by HPLC. As a results in case of peels, native species contented most lowest prunasin in all varieties, and its contents slightly decreased with increased storage periods. Other hand, in case of seeds, native species contented most highest prunasin(177 mg%). Contents of amygdalin and prunasin of extracts was determined by HPLC during six month ripening. As a result, in case of freezing storages contents of those not changed hardly during ripening. But, in case of native storage, contents of amygdalin was decreased and prunasin was increased with increased aging periods. Profile of Ume tea was similar to extracts of it.

매실 품종별, 수확시 기별, 부위별 그리고 매실농축액과 매실차 등 매실가공식품의 저장기간에 따른 시안화합물의 변화를 측정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매실 품종별 숙성과정 중 amygdalin 함량의 변화는 과육의 경우 수분후 미숙과인 70일경에는 3개품종이 비슷하였으나 앵숙이 20.2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핵인의 경우는 재래종에서 562 mg%로 나타나 다른 품종에 비하여 1.5∼2.4배 더 높았으며, 부위별로 보면 핵인이 과육보다 10∼30배 정도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그러나 매실이 성숙되어 가는 과정 중에 전반적으로 모든 품종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미숙과일때에 비하여 황숙기에는 그 함량이 1/3정도로 감소하였고, 핵인 역시 1/2∼1/5배정도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실 품종별 숙성과정 중 prunasin 함량의 변화를 보면 과육의 경우 수분후 미숙과인 70일경에는 재래종이 가장 적은 함량을 보였으며, 매실이 숙성되어 감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핵인의 경우에도 수분후 미숙과에서 재래종에서 177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과육에 비해 약 10배의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그러나 매실이 숙성되어 감에 따라 품종별로 약간씩의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그 함량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났다. 매실농축액의 저장중 6개월 동안의 amygdalin과 prunasin의 변화를 보면 냉동저장한 시료구는 두 성분 모두가 거의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연숙성시킨 시료구에서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amygdalin은 현저하게 감소되고 prunasin은 점차 증가함을 보였다. 매실차액의 저장중 6개월 동안의 amygdailn과 pnmasin의 변화를 보면 역시 냉동저장한 시료구는 두 성분 모두가 거의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연숙성시킨 시료구에서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amygdalin은 현저하게 감소되고 prunasin은 점차 증가함을 보였다. Benzoic acid는 저장방법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과일, 매실농축액 등에서 흔적 정도 검출되었으며 매실 차에서 5∼7 mg%가 검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조한형 (1981) 매실의 건강법. 믿을출판사, 98-99
  2. 서화중, 이명열, 정두례 (1990) 매실추출물이 흰쥐의 위액분비 및 사염화탄소로 유발시킨 가토의 간장장애에 미치는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9, 21-26
  3. 문재식 (1994) 성숙과정중 매실의 이화작적 특성 변화. 경희 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4. 심기환, 성낙계, 최진상, 강갑석 (1989) 매실의 성숙중 주요성분의 변화.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8, 101-106
  5. 서화중, 고은영, 이명열 (1987) 매실추출물이 가토의 alloxan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6, 41-47
  6. 寺田久屋, 山本勝彦 (1992) 梅加工食品のシアン配糖体及びその分解物の含有量調査. 日本衛生學會誌, 33(2), 189-194
  7. 寺田久屋, 山本勝彦(1992) 高速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_ による梅加工食品のシアン配糖体, ベンズアルデヒド及び安息香酸の同時定量法の檢討. 日本衛生學會誌, 33, 183-187
  8. Cairns, T., Froberg, E.F., Gonzales, S., Langham, W.S. and Stamp, J.J(1978). Analytical Chemistry of Amygdalin. American Chemical Society, 50(2), 317-322
  9.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