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itoring Program o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Provided for the Army

군납 농산물 중 유기염소계 농약의 잔류량

  • Published : 2002.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dietary safety based on the level of pesticide residues in 17 kinds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apple, cabbage, cabbage kor, carrot, cucumber, pepper, onion, potato, radish, spring onion, pumpkin, lettuce, garlic, drapwort, spinach, leek crown daisy) consumed in Kyunggi-do and Inchon-city that provided for the army.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01, ten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1075 samples were analyzed by using GC-ECD. According to the results, one kind of pesticides was detected in 135(12.5%) samples, and two kinds were in 7 (5.18%). While dicofol and tetradifon was not fecund. Detection rate of pesticides were 9.02% for $\alpha$, $\beta$-endosulfan, 2.8% far chlorothalonil, 0.46% for γ-BHC, 0.40% for chlorobenzilate, 0.33% for folpet, 0.28% far DDT, 0.15% for captafol, and 0.11% for captan. Dectection ranges of pesticides were from 0.001 to 0.092 ppm for $\alpha$, $\beta$-endosulfan, from 0.003 to 0.023 ppm for chlorothalonil, from 0.003 to 0.006 ppm far γ -BHC, from 0.001 to 0.003 ppm for DDT, from 0.009 to 0.095 ppm for folpet, 0.05 ppm for captan, 0.01 ppm for captafol, and 0.008 ppm far chlorobenzilatel respectively. Consequentlyl all detected pesticide levels in samples were below maximum residue limits(MRLs) in Korea and Codex.

본 실험은 1998년 1월부터 2001년 12월가지 4년간 경기도와 인천지역에 납품된 군납 농산물 17종(배추, 무, 오이, 감자, 사과, 양파, 파, 양배추, 고추, 당근, 상추, 호박, 마늘, 미나리, 시금치, 쑥갓, 부추)을 대상으로 유기염소계 농약 10종 (BHC, captafol, captan, chlorobenzilate, chlorothalonil, DDT, dicofol, endosulfan, folpet, tetradifon)을 검사하여 군장병들의 안전성 및 보건위생상의 위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검사를 수행하였다. 군납 농산물 1,075건 중 유기염소계 농약이 135건(12.5%)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2종류의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7건으로 5.18%이었다. 군납 농산물 중 유기염소계 농약이 endosulfan(9.02%)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그 뒤를 chlorothalonil(2.80%), BHC(0.46%), chlorobenzilate(0.40%), folpet(0.33%), DDT(0.28%), captafol(0.15%), captan(0.11%)으로 나타났다. dicfol과 tetradifond은 전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군납 농산물에서 유기염소계 농약 10종 중 endosulfan(9.02%)외 7종이 검출되었지만, 우리 나라 잔류허용기준치와 Codex의 잔류허용기준치를 초과하는 농산물은 1건도 없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철원, 홍무기 (1996) 식품중 잔류농약에 관한 연구. 식품의 약품안전본부연보, 제1권, p.41
  2. 송병훈 (1992) 우리 나라 농산물 중의 잔류농약과 안정. Kor, J, Food Hygiene. 제33권(3) p.77
  3. 山本出 (1979) Pesticide Design. Soft Science INC., p.10-13
  4. 이서래, 이미경 (1989) 유통식품의 안전성 현황 및 소비자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 음식문화연구원 학술연구보고서, p.168
  5. 환경청 (1982) 환경보전에 관한 국민의식 조사보고. p.168
  6. 한국식품공업협회 한국식품연구소 (1993) 농약관련 참고자료, p.10-135
  7. 식품의약안전청 (2001) 농산물 중 잔류농약 시험법. 식품공전, p.654-658
  8. 이영득, 이해근 (1984) 농약잔류성에 관한 연구 '농약잔류 분석법 개발연구'. 농약연구보고서, p.80-87
  9. Califonia Department of Food and Agriculture, Chemistry Laboratory Serbices Branch, Pesticides Residue Laboratories Multi-Residue Screem
  10. 일본식품위생학회 (1993) 식품위생잡지, 34, p.333-336
  11. 홍무기, 오창환, 최동미, 박건상, 황인균, 우형경, 박일경, 정선미 (1997) 식이를 통한 농약섭취량에 관한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1, p.49-57
  12. FAO/WHO (2000)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Maximum Limit for Pesticide Residue
  13. 심태흠, 이태준, 유미정, 신인철, 이장균, 정의호 (1995) 식품중 농약 잔류량에 관한 조사.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보, 6, 57-73
  14. 심태흠, 이태준, 신인철, 이태준, 한규석, 이장균 (1996) 식품중 농약 잔류량에 관한 조사.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보, 7, 67-74
  15. 황영숙 (2000) 서울시강북지역 유통 농산물 중의 농약잔류 실태 조사(Ⅱ).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보, 9, 153-158
  16. 식품분석과 (2000) 엽경 채소류 잔류농약 오염에 관한 연구. 충청북도보건환경연구원보, 9, 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