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mical Composition of Dried Leaves and Stems and Cured Tubers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야콘(Polymnia sonchifolia)의 건초 잎과 줄기 및 후숙된 괴근의 화학성분

  • 은종방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생물공학연구소) ;
  • 이범수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생물공학연구소) ;
  • 이진철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생물공학연구소) ;
  • 양호철 (전남보건환경연구원) ;
  • 정동식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생물공학연구소)
  • Published : 2002.03.01

Abstract

Chemical composition of fresh and dried leaves and stems and fresh and cured tubers of bacon (Polymnia sonchifolia) was investigated. The moisture content of fresh leaves, stems, and tubers was 83.38, 92.30 and 89.52%, and there of dried leaves and stems were 18.08 and 27.97% and that of cured tubers was 27.97%. The content of lipid, protein, soluble solid, ascorbic acids chlorophyll and tannin was higher in leaves of yacon than in stems of that. In fresh and cured yacon, the content of protein were 0.04% both of them, of lipid was 0.31 and 0.54%; of ash, 0.40 and 0.42%; of ascorbic acids 2.77 and 2.87 mg/100 g. The major minerals of leaves, stem, and tubers of bacon were P, K, and Mg. The major free sugars of leaves, stems and tubers of bacon were glucose and fructose and after curing all free sugars of tubers of bacon were increased. The most abundant free amino acid was isoleucine in the leaves, stem, and tubers of bacon. The content of beta-carotene was 9.01 $\mu\textrm{g}$/100g in fresh leaves and 107.87 $\mu\textrm{g}$/100 g in dried leaves, and 0.40 $\mu\textrm{g}$/100 g in fresh tubers of bacon and 055 $\mu\textrm{g}$/100 g in cured tubers.

야콘(Polynmia sonchilolia)의 식품가공에의 적용 확대를 위해 그것들의 신선한 잎, 줄기, 괴근과 건조 잎과 줄기 및 후숙 후의 괴근의 화학적 성분들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신선한 잎의 경우 83.38%에서 건조 후 18.08%이었고, 줄기의 경우 92.30%에서 건조 후 27.97%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괴근의 경우 신선한 것은 89.52%이었으나 후숙 후 86.99%로 수분감소가 적게 나타났다. 잎의 지방, 단백질, 가용분, ascorbic acid, chlorophyll과 tannin의 함량은 줄기보다 더 많았다. 생괴근과 후숙괴근에서 단백질은 모두 0.04%, 지방은 각각 0.31%, 0.43%, 회분은 각각 0.40%, 0.42%, ascorbic acid는 각각 2.77 mg/100 g와 2.87 mg/100 9로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요한 무기성분은 잎, 줄기, 괴근에서 모두 P, K, Mg이었다. 유리당은 잎, 줄기, 괴근 모두 glucose와 fructose가 주요한 성분을 이루고 있었으며, 괴근에서는 모든 당이 후숙 후 크게 증가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모든 시료에서 isoleucine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beta$-carotene의 함량은 신선한 잎에서 9.01 $\mu\textrm{g}$/100 g, 건조잎에서 107.87 $\mu\textrm{g}$/100 g이었고, 생괴근에서 0.40 $\mu\textrm{g}$/100 g와 후숙괴근에서 0.55 $\mu\textrm{g}$/100 g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승진, 정주호 (1986) 남미산 근채류 개발에 관한 연구. 원예시험장 연구보고서(야채분야), p.99-101
  2. Ryu, J.H., Doo, H.S. and Moon, J.G. (1976) Development of Cultivation, Propagation, and Manufactured Food of New Crop, Yacon (Polymnia sonchifolia Poepp. & Endl). Research Report of Ministry of Agriculture & Forestry, p.26
  3. Zardini, T. (2000) Ethnobotanical notes on 'Yacon'. Polymnia Somchifolia[Asteraceae]. Economic Botany, 45, 72-85 https://doi.org/10.1007/BF02860051
  4. Goto, K. (1995) Isolation and structural analysis of oligosaccharides from Yacon(Polymnia sonchifolia). Bioscince, Biotechnology & Biochemistry, 59, 2346-2347 https://doi.org/10.1271/bbb.59.2346
  5. AOAC.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6. 우순자, 유시생 (1983) 원자흡광분석을 위한 식품시료 전처리방법-왕수액 처리방법과 건식 및 습식분해법과의 비교. 한국식품과학회지, 15, 225-230
  7. Owen, R.F. (1975) Food Chemistry, Macel Dekker Inc., New York, p.386
  8. 신효선 (1994) 식품분석(이론과 실험). 신광출판사, 서울, p.121-122
  9. 주현규, 조현기, 박충균, 조규성, 채수규, 마상조 (1992) 식품분석법. 유림문화사, p.183-187
  10. 김경탁, 석호문, 김성수, 홍희도, 이영택, 김정곤 (1995) 품종별 보리잎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농화학회지, 38, 431-434
  11. Comar, C.L. and Zscheille, F.P. (1942) Plant Physiol., 17, p.198 https://doi.org/10.1104/pp.17.2.198
  12. 김상권, 권태룡, 민기군, 이승필, 최부술, 이상철 (1996) 전호 뿌리의 유리아미노산과 정유 성분 조성. 한국작물학회지, 41, 521-525
  13. 최진호, 장진규, 박길동, 박명한, 오성기 (1981)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인삼 및 인삼제품중의 유리당의 정량. 한국식품과학회지, 13, 107-113
  14. 노혜완, 도재호, 김상달, 오훈일 (1983) 저장상대습도가 백삼품질에 미치는 영향. 제1보 등온흡습곡선과 TBA가, 지용성 및 수용성색소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15, 27-31
  15. Watanabe, K., Toki, T., Ino, M., Hirota, S. and Takahashi, B. (1999) Change in beta-carotene and beta-carotene isomer composition in sweet potato during storage. J. Japanese Soci. Horticulture Sci., 68, 1044-1046 https://doi.org/10.2503/jjshs.68.1044
  16. R.D.A. (1996) Food Composition Table.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5th, p.82
  17. 정혜경 (1995) 한국산 마의 당질 분석. 한국식품과학회지, 27, 36-40
  18. 김혜자, 김세원, 신창식 (2000) 창포(Acorus calamus L. var. angustatus Bess.)잎과 뿌리 증의 성분 분석. 한국식품과학회지, 32, 37-41
  19. 정선영, 이수정, 성낙주, 조종수, 김신권 (1995) 감(Diospyros kaki, Thumb)잎차의 화학 성분.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4, 720-726
  20. Roberts, E.A.H. (1958) Chemistry of the tea manufacture. J. Sci. Food Agr., 9, 381-387 https://doi.org/10.1002/jsfa.2740090701
  21. Nashima, Z., Nakagawa, M., Tokumura, H. and Toriumi, Y. (1951) Free amino acids in tea Ⅳ. Quantitative changes in the manufacture of black tea and green tea. J. Agr. Chem. Soc., 31, 169-175
  22. Hirayama, O, and Oido, H. (1969) Change of lipid and pigment composition in spinach leaves during their storage. J. Agr. Chem. Soc. Jpn., 43, 423-428
  23. Khachik, F. Beecher, G.R. and Whittaker, N.F. (1986) Separation,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the major carotenoid and chlorophyll constituents in extracts of several green vegetables by liquid chromatography. J. Agric. Food Chem., 34, 603-616 https://doi.org/10.1021/jf00070a006
  24. 이상화, 최은옥, 이현규, 박관화 (2001) 저장 중 시금치의 클로로필 색소 성분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농화학회지, 44(2), 73-80
  25. 박무현, 박용곤, 한대석, 석호문, 강윤환, 진재순, 석문식 (1992) 미나리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개발. 한국식품개발연구원보고서, 1068-0292
  26. 이영옥, 최홍식 (1998) 배추김치에서 분리된 클로로필 및 그 유도체의 항산화작용. 1998년도 한국식품과학회,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춘계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p. 47
  27. 최홍식, 송은승, 전영수 (1997) 클로로필류와 카로틴이 리놀레산 산화에 미치는 항산화 양상 비교. 1997년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제41차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 69
  28. 박원봉, 김덕숙 (1995) 저장조건에 따른 신선초 생즙의 베타카로틴과 비타민 C의 함량 및 항산화능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27, 375-379
  29. 이희덕, 이정일 (1996) 구약감자 성분분석. 한국약용작물학회지, 4, 261-264
  30. 김현구, 이부용, 신동빈, 권중호 (1998) 볶음조건이 치커리의 이화학적 특성과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30, 1279-1284
  31. 김용두, 김성구, 강성훈 (1996) 유자의 성분분석과 공산제품 개발에 관한 연구. 1. 유자의 부위별 화학적 성분 분석. 농업논문집, 38, 12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