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Cordyceps militaris Extracts

동충하초의 항산화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 박찬성 (경산대학교 생명자원공학부) ;
  • 권충정 (경산대학교 생명자원공학부) ;
  • 최미애 (양산대학 식품가공제과제빵과) ;
  • 박금순 (대구가톨릭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 최경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2.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extracts of Cordyceps militaris. Fruiting body and mycelia of artificially cultivated Cordyceps militaris were extracted with water and 70% ethanol. In Cordyceps militaris mycelia,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of water extract ranged from 37% to 47% and ethanol extract ranged from 57% to 70% at 300∼1,000 ppm. In Cordyceps militaris fruiting body, EDA of water extract and ethanol extract were similar, ranged from 19% to 48% at 300-1,000 ppm. Nitrite scavenging ability (NSA) of extracts measured at various pH (1.2, 3.0, 4.2, 6.0) was the highest at pH 1.2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pH, suggesting it is pH dependent. In Cordyceps militaris mycelia, NSA of water extract 1,000 ppm was 23% and that of ethanol extract 1,000 ppm was 37% at pH 17. In Cordyceps militaris fruiting body, NSA of water extract 1,000 ppd was 12% and that of ethanol extract 1,000 ppm was 37% at pH 1.2. EDA and NSA of Cordyceps milituis were higher in extract of mycelia than fruiting beds and higher in ethanol extract than water extract of each part.

인공재배한 번데기동충하초의 균사체와 자실체를 각각 물과 70% 에탄올로서 추출하여 전자공여 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균사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300∼1,000 ppm의 물추출물에서 37∼47%였으나, 에탄올추출물에서 57∼70%로서 에탄을 추출물이 우수하였다. 자실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300∼1,000 ppm에서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모두 19∼48%로서 균사체 추출물에 비하여 낮은 편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 3.0, 4.2, 6.0에서 측정한 길과, pH 1.2에서 가장 높았으며 PH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균사체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1,000 ppm의 물추출물은 23%, 에탄올추출물은 37%로서 에탄을 추출물이 우수하였다. 자실체 추출물의 경우에는 pH 1.2, 1,000 ppm 농도에서 물추출물은 12%, 에탄올추출물은 37%의 아질산염 소거능으로서 에탄올추출물이 우수하였다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에서 균사체 추출물이 우수하였으며 용매 별로는 에탄올 추출물이 물추출물보다 우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Mizuno, T. (1995) Bioactive biomolecules of mushroom fungi. Food Rev. Int., 11, 7-21.
  2. Ota, S. (1984) Shiitake (Lentinus edodes). New. Food Industry, 26, 49
  3. 하영득 (2001) 저령추출물의 항암, 항산화 및 항균효과.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8, 481-487
  4. 김성환 (1998) 영지버섯 다당체의 항미생물작용 및 항암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7, 1183-1188
  5. 조희정, 심미자, 최응칠, 김병각 (1985) 한국산 고등 균류의 성분 연구(제 57보) : 구름버섯의 항암성분. 한국균학회지, 16, 162-169
  6. 이기동, 장학길, 김현구 (1997) 버섯류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과학회지, 29, 432-436
  7. 김미남, 오상화, 이득식, 함승시 (2001) 번데기 동충하초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항돌연변이원성 효과,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8, 109-117
  8. 권상희, 우회종, 한대석, 감미경 (2001) 동충하초의 건분 및 물추출물이 흰쥐의 지방대사, 항산화 및 면역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양학회지, 34, 271-284
  9. 정은재 (1998) 석이버섯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식품영양학회지, 11, 426-430
  10. Avena, S.L. and Hinoat, L.V. (1977) Ferulic acid and other phenolics in oat seeds. J. Food Sci., 42, 551-554 https://doi.org/10.1111/j.1365-2621.1977.tb01547.x
  11. Kozloska, H. and Zadernowski, R. (1983) Phenolic acids in rapeseed and mustard. J. Am. Oil Chem. Soc., 60, 1119-1122 https://doi.org/10.1007/BF02671339
  12. 성재모, 이현경, 유영진, 최영상, 김상희, 김용욱, 성기호 (1998) 단백질 분석을 기초로 한 Cordyceps속 동충하초의 분류. 한국균학회지, 26, 1-7
  13. 한대석, 송효남, 김상희 (1999) 동충하초 : 새로운 기능성식품 소재. 식품과학과 산업, 32, 56-63
  14. 한대석, 송효남, 김영언 (1999) 동충하초의 현황, 문제점 및 연구방향. 식품과학과 산업, 32, 67-71
  15. Manabe, N., Sugimoto, M., Azuma, Y., Taketomo, N., Yamashita, A., Tsuboi, H., Tsunoo, A., Kinjo, N., Nian-Lai, H., and Miyamoto, H. (1996) Effects of the mycelial extract of cultured Cordyceps sinensis on in vivo hepatic energy metabolism in the mouse. Jpn. J. Pharmacol., 70, 85-88 https://doi.org/10.1254/jjp.70.85
  16. 신혜원, 김하원, 최응칠, 도상학, 김병각 (1985) 한국산 영지의 무기성분 및 면역 증강 작용에 관한 연구. 생약학회지, 16, 181-190
  17. 성재모 (1996) 한국의 동충하초. 교학사, 서울, p.272-274
  18. Wasser, S.P. and Weis, A.L. (1999) Therapeutic effects of substances occuring in higher Bassidiomycetes mushrooms: a modern perspective. Critical Rev. Immunol., 19, 65-96
  19. 지정환, 김미남, 최근표, 정차권, 함승시 (2000) 아가리쿠스버섯(Agaricus blazei Murill)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세포독성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32, 1371-1378
  20.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https://doi.org/10.1038/1811199a0
  21. Gray, J.I. and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o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981-984 https://doi.org/10.1111/j.1365-2621.1975.tb02248.x
  22. 김선희, 박찬성 (2001) 담자균 추출물의 항균작용 및 항산화작용.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8, 118-124
  23. 최웅, 신동화, 장영상, 신재익 (1992) 식물성 천연 항산화물질의 검색과 그 항산화력 비교. 한국식품과학회지, 24, 142-148
  24. 정해정, 노경림 (2000) Herb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항균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검색. 한국조리과학회지, 16, 372-377
  25. 정해정, 노경림 (2000) Herb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항균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검색. 한국조리과학회지, 16, 372-377
  26. 강윤한, 박용곤, 이기동 (1996) 페놀성 화합물의 아질산염 소거 및 전자공여 작용. 한국식품과학회지, 28, 232-239
  27. Gregory, F.J., Healy, E.M., Agerborg, H.P.K., Jr. and Warren, G.H. (1966) Studies on antitumor substances produced by Basidiomycetes. Mycologia, 58, 80-90 https://doi.org/10.2307/3756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