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디자인에서 이미지의 變換

Image Conversion in Digital Design

  • 김훈 (세종대학교 디자인학과)
  • 발행 : 2002.02.01

초록

시각디자인(visual communication design)에서 이미지의 표현은 전통적으로 여러 표현매체(Media)의 매커니컬한 부분과 깊은 관계가 있다. 특히 디지털방식을 이용한 이미지 표현에서는 회화적인 표한 도면작성, 광학적인 표현, 영상이미지 등 다양한 형식의 이미지들이 디지털데이터로 전환됨으로써 이미지의 변환이 쉬워졌다. 한편 디지털형식으로 각종 표현매체가 통합됨으로써 여러 형식의 시각이미지들간의 함성이 활성화됨으로써 이미지표현의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나아가 기존의 평면적인 표현에서 3D, 4D 등 다양한 차원의(dimensional) 표현들이 디지털디자인의 이미지표현에서 종합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렇게 여러 이미지형식들이 종합되는 과정에서 부분적이거나 전체적인 이미지의 변환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그 변환은 크게 조형적인 측면과 기술적인 측면의 두 가지 요인으로 요약된다. 본 논문에서는 조형적 측면으로 기존의 회화적 표현과 사진술로 대표되는 광학적 표한 그리고 컴퓨터그래픽에서의 이미지 변환 원리를 유형화하고 기술적인 측면으로 데이터형식에 따른 이미지의 변환과 디멘션에 따른 세부적인 내용을 기술하였다. 이 중 특히 기술적이고 정량적인 측정이 필요한 내용에 대해서는 컴퓨터를 이용한 간단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결과를 요약하였고, 연구내용의 세부적인 결과를 실제 시각디자인 작업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사안별로 제시했다.

An expression of image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traditionally has a dose relationship with the mechanical part of several expression media. Especially, an image conversion becomes easter by converging various forms of image such as a pictorial expression, a drawing up a plan, an optical expression and a reflected image into digital data in the image expression using digital mode. In addition, synthesis between various forms of visual ,images is activated by the integration of all expression media into digital mode and thus the extent of the image expression becomes diversified. Moreover, there is a tendency that a various dimensional expression such as 3D and 4D is generalized in the image expression of digital design. A partial or whole image conversion has often occurred during the generalization process of several image forms. Such conversion summarized into two factors, a formative side and a technical side. We described the existing pictorial expression as a formative side, an optical expression as a photography, a materialization of image conversion theory of computer graphic image conversion according to data form as a technical side and specific content according to dimension. We summarized objective and demonstrative resets through a simple simulation using a computer for the contents required a technical and qualitative measure and presented an application program of the particular results from the study to the visual communication design work by a cas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