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태백산, 함백산, 금대봉 및 매봉산지역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Taebaeksan, Hambaeksan, Geumdaebong(Peak) and Maebongsan in the Baekdudaegan

  • 김용식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자연과학부) ;
  • 임동옥 (호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자연과학부) ;
  • 오현경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신현탁 (대구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 발행 : 2002.03.01

초록

As one of the botanical hot spot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vascular plant species in the areas of Taebaeksan, Hambaeksan, Geumdaebong(Peak) and Maebongsan were summarized as 694 taxa, 89 families, 302 genus, 579 species. 102 varieties and 13 forms. Based on the list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from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22 species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Thuja koraiensis(Cupressaceae), Arisaema heterophyllum(Araceae), Disporum ovale(Liliaceae), Tricyrtis dialata(Liliaceae), Lilium distichum(Liliaceae), Anemone koraiensis(Ranunculaceae), Rodgersia podophylla(Saxifragaceae), Rosa marretii(Rosaceae), Viola diamantica(Violaceae), Viola albida(Violaceae), Echinopanax horridum(Araliaceae), Acanthopanax chiisannensis(Araliaceae), Lysimachia coreana(Prinmulaceae), Syringa velutina var. kamibayashii, Halenia corniculata(Gentianaceae), Partrinia saniculaefolia(Valerianaceae), Adenophora grandiflora(Campanulaceae), Cacalia pseudo-taimingasa(Compositae) Iris odaesanensis(Iridaceae), Leontice microrhyncha(Berberidaceae), Rpdgersia tabularis(Saxifragaceae), and Acanthopanax sentico년(Araliaceae), Among them the four species were recorded from the list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 most of the species were recorded from the mountain-trails, the long-term habitat monitoring for the species is required .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연구원(2000)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 관리범위 설정을 중심으로-. 23-24쪽
  2. 녹색연합(1998) 백두대간 환경 대탐사. 23-27쪽
  3. 녹색연합(1997) 강원도지역 백두대간 생태계보전을 위한 심포지엄. 3-45
  4. 산림청(1996) 백두대간 관련 문헌집. 367-369쪽
  5. 산림청, 녹색연합(1999) 백두대간 산림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15-26쪽
  6. 산림청. 대한지리학회(1997) 백두대간 실태조사 및 합리적인 보전방안 연구. 159-179쪽
  7. 양인석(1961) 경북식물조사연구. 경대논문집 5: 17-65
  8. 이영노(1997)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1-1247쪽
  9. 이우철(1996) 치악산의 식물조사보고. 강원대논문집 10: 259-275
  10. 이우철. 임양재(1979)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식물분류지 8: 1-33
  11. 이우철(1987) 태백산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25 권 .43-57쪽
  12.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749쪽
  13. 이창복(1983) 우리 나라 특산식물과 분포. 관악수목원연구보고 4: 71-113
  14. 이창복(1986) 신고 수목학. 향문사.19-25쪽
  15. 임업연구원(1997)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도감. 중부임업시험장. 8-240쪽
  16. 정태현, 이우철(1965) 한국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성대논문집 10: 329-435
  17. 환경부(2001) 한국의 멸종위기 및 보호야생 동 ·식물국 · 영문 종 정보기록 연구. 350-41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