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피재-도래기재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Pijae to Doraegijae in the Baekdudaegan, Korea

  • 오구균 (호남대학교 환경디자인공학부) ;
  • 박석곤 (호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발행 : 2002.03.01

초록

백두대간상의 피재-도래기재구간 능선부에서 43개소 조사지(면적 500$m^2$)를 설정하여 식생구조를 파악하였다. TWINSPAN분석에 의하여 조사지의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아고산대 혼효림, 신갈나무-당단풍군집, 신갈나무-소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일본잎갈나무림으로 분리되었다. 백두대간 피재-도래기재구간의 능선부는 대부분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국지적으로 분비나무, 주목 등의 한대 기후대 침엽수와 낙엽수종들이 혼효하고 있었다. 조사지의 산림군집의 종다양성지수(면적 1,000$m^2$)는 2.0149~3.0139로서 백두대간에 위치한 국립 공원들의 능선부 식생구조와 유사하였다.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Pijae to Doraegijae in Baekdudaegan, forty-three sites(size 500$m^2$) were set up and surveyed By using TWINSPAN classification. the plant community was divided into five groups, those are mixed forest on sub-alpine zone. Quercus mongolica - Acer pseudo-sieboldianum community, Q. mongolica-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Larix leptolepis forest. Quercus mongolica was found as a major woody plant species in the ridge area. And partly the subalpine zone in low elevation was occupied by deciduous tree species and mixed a few conifer such as Abies nephrolepis and Taxus cuspidata etc.. Species diversity index(Area 1,000$m^2$) in the showed calculated 2.0149~3.0139 and it was similar to those of the ridge area of the national parks in Beakdudaegan.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연구원(2000)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관리범위 설정을 중심으로(1차년도). 국토연구원, 63쪽
  2. 기상청(2001) 한국기후표. 기상청, 632쪽
  3. 김갑태, 김준선, 추갑철(1993) 소백산 도솔봉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6(2): 127-133
  4. 김갑태, 백길전(1998) 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한계령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11(4): 397-406
  5. 김갑태, 추갑철(1999) 덕유산 아고산지대의 삼림군집 구조에 관한 연구-구상나무림-. 한국환경생태학회지13(1): 70-77
  6. 김갑태. 추갑철. 백길전(2000) 지리산국립공원 명선봉. 덕평봉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구상나무군집-.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4): 299-308
  7.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a) 오대산국립공원 두노봉-상왕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10(1): 160-168
  8.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b) 오대산국립공원 상원사, 비로봉, 호령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0(1): 151-159
  9.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7) 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소청봉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0(2): 240-250
  10. 김정언. 임양재(1988) 내장산 식물군집의 식물사회학적 분류. 한국식물학회지 31: 1-31
  11. 김준선, 김갑태, 주혜란(1991) 지리산 자연생태계보전구역의 식생. 응용생태연구 5(1): 9-24
  12. 녹색 연합(1998) 백두대간 환경 대 탐사 보고서 . 456쪽
  13. 박인협, 이경재, 조재창(1988) 치악산국립공원 삼림군집의 구조 -구룡산-비로봉지역을 중심으로-. 응용생태연구 2(1): 1-8
  14. 박인협 . 조재창. 오충현 (1989) 가야산지역 계곡부와 능선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삼림구조. 응용생태 연구 3(1): 42-50
  15. 박인협, 최영철. 문광선(1993) 소백산지역의 달밭재-비로봉 능선부의 삼림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6(2):147-153
  16. 산림청(2001) 백두대간 자연생태계 보전 및 훼손지 복원방안 조사 연구. 산림청 . 306쪽
  17. 산림청, 녹색연합(1999) 백두대간 산림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602쪽
  18. 산림청. 대한지리학회(1997) 백두대간 실태조사 및 합리적인 보전방안 연구
  19. 이경재. 류창희. 최송현(1991) 지리산 아고산대 신갈나무-분비나무림 식물군집 구조분석. 응용생태연구 5(1): 32-41.
  20. 이경재. 임경빈. 조재창. 류창희(1990) 속리산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l)-소나무림 보존계획-. 응용생태 연구 4(1): 23-32
  21. 정연숙(1998) 백두대간의 현존식생. 자연보존 103:48-54
  22. 추갑철, 김갑태, 백길전(2000)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지대의 구상나무림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14(1): 28-37
  23.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24.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pp https://doi.org/10.2307/1931725
  25. Gauch, H.G.(1982) Multivariate analysis in Communi-ty e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8pp
  26. Hill, M.O.(1979a) DECORANA-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N.Y., 52pp
  27. Hill, M.O.(1979b)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 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suals and attributes.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99pp
  28. Pielou, E. C.(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Sons, N. Y., 385pp
  29. Whittaker, R.H.(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ogy Monographs 26:1-80pp https://doi.org/10.2307/1943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