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urvey on Health Management and Life Habits for the Urban Salaried Workers

도시 직장인들의 생활습관 및 건강관리 실태 조사에 관한 연구 -5대도시(부산, 여수, 창원, 진주, 인천)를 중심으로 -

  • 정복미 (여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임상선 (여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은실 (한림산업대학교 전통조리과)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This study was to evaluate health management and life habits of the urban salaried workers.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There were more men than women who thought their health good (p<0.01). Stomach disease was the highest in the subjects, and the second was liver disease (p<0.001). Of respondents, 10% always exercised in the morning, 26% often, and 63% never. Men took exercise more regularly than women (p<0.001). The kinds of exercises were walk (33%), jogging (25%), physical training (14%), golf (6.4%), rope jumping, and tennis. Men ate healthy drug more than womon. Most of men thought that sports were the best for health management. Women considered that baying regular habits was the best for control of her health. The smoking rate of respondents was 41%, and the rate in Chinju showed higher than the other area (p<0.001). Man smokers were more than women (p<0.001). Drinking rate of respondents was 78%. Men enjoyed soju, while women liked beer (p<0.001)

본 연구는 도시 직장인들의 생활습관과 건강관리를 파악하기 위하여 5대 도시 (부산, 여수, 창원, 진주, 인천)의 직장에 근무하는 20~60세의 남녀 직장인 965명을 대상으로 1997년 3월부터 10월까지 건강 및 생활습관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신의 건강상태 평가에서 ‘좋다’는 43%, ‘보통’은 52%, ‘나쁘다’는 4.1%로 답하였다. 대체로 남성이 여성보다 건강상태가 ‘좋다’고 답하였다(p<0.01). 평소에 좋지 않은 부위 또는 질병상태는 조사대상자들의 42%가 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답하였으며, 다음으로 간, 비만, 신경질환 순이었다. 위 질환은 남녀의 비율이 비슷하였으며, 간, 폐 질환과 당뇨병은 여성에 비해 남성 이 높았고, 비만은 남성에 비해 여성이 높았다(p<0.001). 지역별, 연령별, 직업별 모두 위 질환이 많았으며, 다음으로 간 질환이었다(p<0.01). 아침운동은 ‘항상한다’고 답한 사람은 전체의 10%, ‘가끔 한다’는 26%, ‘전혀 하지 않는다’가 63%로 나타났다. ‘항상 한다’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인천이었고, 창원에서는 가장 낮았다. ‘전혀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여수이며, 가장 낮은 비율은 창원이었다(p<0.001). 남성이 여성에 비해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있었으며(p<0.001). 41~50세에서 아침운동을 ‘항상 한다’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21~30세에는 ‘전혀 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이 가장높았다(p<0.001). 운동의 종류는 산책이 33%, 조깅이 25%, 체조 14%, 골프 6.4%, 줄넘기, 테니스 순으로 나타났다. 줄넘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운동비율은 남성들에서 높았으며(p<0.001), 41~50세에서는 산책이, 21~40세에서는 조깅이 높게나타났다(p<0.001). 수면시간조사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시간은 5~8시간이었다. 5대 도시 직장인들이 정기적으로 가장 많이 복용하는 약은 비타민제, 다음으로 보약, 소화제 순이었다. 직장 남성들은 여성에 비해 보약을 더 많이먹었으며,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변비 약을 정 기적으로 복용하였다(p<0.001).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가장 좋은 건강관리방법은 ‘규칙적 인 생활을 한다’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운동, 소식, 보약 순이었다. 규칙적인 생활이 가장 높게 나타난 지역은 부산이었고, 그 외 지역은 운동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p<0.0001). 남성들은 운동을 건강관리의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답하였고, 여성들은 규칙적인 생활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답하였다(p<0.001). ‘흡연을 한다’는 41%, ‘하지 않는다’는 59%로 답하였고, 진주를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는 흡연을 하지 않는 비율이 더 높았다(p<0.001). 남성은 여성에 비해 흡연율이 높았으며 (p<0.001), 20대는 약간 낮았으나 30대 이후에는 흡연비율은 약간 높게 나타났다(p<0.001). 직업별로는 회사원, 공무원, 전문직은 비 흡연율이 높았으며, 자영업, 생산직, 영업직, 서비스직에서는 흡연율이 높게 나타났다(p<0.001). 알코을 섭취조사에서 술을 ‘마신다’고 답한 사람은 대상자의 78%, ‘마시지 않는다’는 22%였으며, 남성은 조사대상자의 85%, 여성은 67%가 술을 마신다고 답하였다(p<0.001). 21~30세에서 술을 가장 많이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01), 마시는 술의 종류로는 소주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맥주, 위스키 순이었다. 소주를 가장 많이 마시는 지역은 진주, 맥주를 가장 많이 마시는 지역은 부산이었으나, 모든 지역에서 소주와 맥주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다(p<0.01). 남성들은 여성에 비해 소주를,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맥주를 즐겨 마셨으며 (p<0.001), 21~30세에서는 소주보다 맥주를, 31~50세에서는 맥주보다 소주를 더 많이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본 연구 결과 도시 직장인들은 건강은 보통이상으로 답하였으나, 위 및 간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하는 비율이 낮았으며, 음주비율이 높으므로 도시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생활습관을 고쳐 건강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채범석. 1987. 임상영양학. 아카데미서적. p 8
  2. 김정순. 1991. 만성 퇴행성 질환. 예방의학회지 24: 105-116
  3. Mckeown T. 1984. The role of medicine. Oxford, Basil Blackwell
  4. Nam WK, Im JE. 1996. A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its related factors of residents in urban area. J Korean
  5. Lee KS, Kim JW, Jang KT, Lee JY. 1992.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rporate fitness facilities and programs for promotion of employee's health and wellness of Korean and American business corporations. The Korean J Physical Education 31: 199-211
  6. Kim ES, Jung BM, Chun HJ. 2001. The survey of meal habits for the urban salaried workers (I). Korean J Soc Food Sci 17: 91-104
  7. Song KW, Kwak WH, Oh JY, Park NW, Lee WK. 1996. Factors related health recognition of workers. J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7: 1122-1132
  8. Jeon BC, Nam CH. 1996. An analysis on factors related to health management & disease awareness of industrial workers. J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13: 1-22
  9. 조규상. 1991. 산업보건학. 수문사. p 95-120
  10. 전국대학보건관리학교육협의회. 1999. 보건학원론. 계축문화사. p 711-742
  11. Ahn HG. 1994. Factors related to the white color's health behavior and the degree of their health practice in a metropolitan city. Health Promotion 3: 116-143
  12. Korean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1989. Exercises habits of works and physical function. The Occupational Health 9: 58-63
  13. The Monthly Joongang. 2001. Health and sex of the men in Korea. Vol 7, p 125-127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9. Report on 199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p 273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7. 1995 National Nutrition Survey Report
  16. En KS, Han MH. 1994. A study on health care status in a rural area.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8: 73-84
  17. 송건용, 남정자, 최창수, 김태정. 1993. 1992년도 국민건강 및 보건의식 형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8. Rhee HS. 1997. A study on life habits of male and female adults relating to their body shape. Korean J Soc Food Sci 13: 147-156
  19. Dawson DA. 1993. Patterns of alcohol consumption beverage effects on gender differences. Addiction 88: 133-138 https://doi.org/10.1111/j.1360-0443.1993.tb02771.x
  20. Marques-Vidal P, Montaye M, Haas B, Bingham A, Evans A, Juhan-Vague I, Ferheres J, Luc G, Amouyel P, Arveiler D, Yarnell J, Ruidavets JB, Scarabin P, Ducimetiere P. 2001. Relationships between alcoholic beverage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 levels in middle-aged men, the prime study. An Esp Pediatr 55: 121-128 https://doi.org/10.1016/S1695-4033(01)77647-3
  21. Brower KJ, Hall JM. 2001. Does moderate alcohol intake protect against coronary heart disease? Epidemiology 12: 390-395 https://doi.org/10.1097/00001648-200107000-00008
  22. Okubo Y, Suwazono Y, Kobayashi E, Nogawa K. 2001. Al cohol consumption and blood pressure change: 5-year follow up study of the association in normotensive workers. Addict Behav 26: 415-423 https://doi.org/10.1016/S0306-4603(00)00134-9
  23. Okubo Y, Miyamoto T, Suwazono Y, Kobayashi E, Nogawa K. 2001. Alcohol consumption and blood pressure in Japanese men. Public Health 115: 192-196
  24. Agarwal DP, Srivastava LM. 2001. Effects of age and alcoholism on sleep: a controlled study. Atherosclerosis 157: 431-440 https://doi.org/10.1016/S0021-9150(00)00734-6

Cited by

  1. Dietary Habits and the Perception and Intake of Health Functional Foods in Male Office Workers by Age vol.25, pp.2, 2015, https://doi.org/10.17495/easdl.2015.4.25.2.340
  2. Comparison of Dietary Status and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the Obesity in Male Workers vol.24, pp.3, 2013, https://doi.org/10.7856/kjcls.2013.24.3.411
  3. 거주지역 및 성에 따른 통영지역주민의 건강식품 이용실태 및 건강관련 제요인과의 관련성 vol.34, pp.6, 2002, https://doi.org/10.3746/jkfn.2005.34.6.840
  4. Effects of Obesity Management Program Provided by Occupational Health Nurse in Worksite vol.41, pp.5, 2002, https://doi.org/10.1177/0193945918818183
  5. A Survey on the Health Behavior and General and Ocular Health Care Status of Optometrists vol.25, pp.3, 2002, https://doi.org/10.14479/jkoos.2020.25.3.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