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y of 4-Recommended Soybean Cultivars for Meju and Doenjang

장려품종 콩을 이용한 메주 및 된장 품질 특성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In order to selection of the suitable soybean varieti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ju and doenjang on 4 domestic soybean cultivars(Daeweon, Sodam, Jinpeum and Hwangkeum) were evaluated. Crude protein and lipid content was 26.7∼30.5% and 16.89∼19.31%. The content of total free sugar among 4 soybean cultivars were 4.99∼5.26% and composed mainly stachyose(2.59∼3.51%), raffinose and sucrose. The content of total free sugar of meju were the highest in Jinpeum among 2.10∼2.66% and composed mainly glucose. The lightness of meju lump in Hwangkeum was larger decrease than the others, the redness were higher in Daeweon and Hwangkeum, the yellowness was the highest in Sodam. The lightness of meju powder was the highest in Sodam, the redness was the lowest in Sodam, the yellowness was the highest in Hwangkeum. The chemical composition of doenjang were that : was the highest in Jinpeum among the 7.90∼9.71% crude lipid, in Daeweon among 9.67∼13.50% crude protein, in Sodam among 2739∼3825 mg% Formol nitrogen and in Daeweon among 6.88∼8.36% crude saponin, respectively. The content of total free sugar of doenjang were the highest in Hwangkeum among 1.88∼2.22% and composed mainly fructose and glucose.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of doenjang was the highest in Sodam, the redness was the highest in Hwangkeum. Doenjang by Hwangkeum had good score for taste, texture and overall quality in sensory evaluation.

국산 콩 재배를 장려하고 메주 및 된장가공용으로 적합한 우수 콩품종을 선발하고자 충남도내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대원, 소담, 진품 및 황금 콩을 이용하여 메주 및 된장을 제조한 후 품종간 품질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원료 콩들의 일반성분 중 조지방은 16.89~19.31%, 조단백질은 26.7~30.5%,이었고 품종별 총 유리당 함량은 4.99~5.26%로 주된 유리당은 stachyose으로서 2.59~3.51%를 함유하고 있었고 그 다음은 raffinose와 sucrose순이었다. 메주의 조지방은 16.2~21.0%로 황금콩이, 조단백질은 32.2~36.4%로 대원과 소담콩이, 가용성 무질소물은 23.5~26.62%로 진품콩이 각각 함량이 높았으며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266~371 mg%로 대원콩이 가장 높았다. 메주의 총 유리당은 2.10~2.66%로 주된 유리당은 glucose이었으며 대원콩이 유리당함량이 높았다. 메주덩어리의 색도를 본 결과 황금콩이 밝기가 가장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는 대원콩과 황금콩이 높았고 황색도는 소담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메주를 분쇄하여 메주분으로 조사한 결과 소담콩이 자기값이 가장 높았고 적색도가 가장 낮았으며 황색도는 황금콩이 가장 높았다. 발효된장의 조지 방은 7.90~9.71%로 진품콩이, 조단백은 9.67~13.50%로 대원콩이, formol태 질소함량은 2739~3825mg%로 소담콩이, 조사포닌 함량은 6.88~3.36%로 대원콩이 각각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총유리당 함량은 1.88~2.22%으로 황금콩이 가장 높았으며 된장의 주된 유리당은 fructose와 glucose이었다. 된장제품의 색도 중 밝기와 황색도는 소담콩이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는 황금콩이 가장 높았다 된장제품의 관능검사결과 소담콩이 색깔면에서는 우수하였으나 맛, 질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볼 때 황금콩이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춘영 (1989) 장류와 문화. 식품과학과 산업, 22(4) 3-7
  2. 장지현 (1989) 우리나라 전래 발효음식의 기술발달사. 우리나라 전통발효식품에 관한 세미나. 특허청
  3. 정건섭 (1995) 장류산업의 현황과 연구개발 방향. 한국산업미생물학회 생물산업, 8, 13-16
  4. 식품저널 (2002) 장류시장, 된장시장가열 32-41
  5. 이종호, 김미혜, 임상선 (1991) 재래식 메주 및 된장중의 항산화성 물질에 관한 연구. 1. 메주발효 및 된장숙성중의 지질산화와 갈변. 한국식량영양학회지, 20, 148-155
  6. 김미혜, 임상선, 김성희, 김경업, 이종호 (1994) 재래식 메주 및 된장중의 항산화물질에 관한 연구. 2. 지용성 갈변물질의 분리와 항산화력. 한국식량영양학회지, 23, 251-260
  7. 김미혜, 임상선, 김성희, 김경업, 이종호 (1994) 재래식 메주 및 된장중의 항산화물질에 관한 연구. 한국식량영양학회지, 23, 792-798
  8. 건국대학교 (1996) 전통콩발효식품(된장, 청국장, 간장)의 기능 및 생리적 활성. 건국대학교 개교 50주년 기념 제1회 국제심포지움
  9. 이종수, 이성훈, 권수진, 안철, 유진영 (1997) 재래식 메주에서 분리한 각종효소활성과 기능성.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25, 446-453
  10. Kennedy, A.R. (1995) The evidence for soybean products as preventive agents. J. Nutr. 125 733-739
  11. Santiago, L.A., Hiramatsu, H. and Mori, A. (1992) Japanese soybean paste miso scavengy free radicals and inhibit lipid peroxidation. J. Nutri. Sci. Vitaminol., 38, 297-302 https://doi.org/10.3177/jnsv.38.297
  12. Shin, Z.I., Ahn, C.W., Nam, H.S., Lee, H.J., Lee, H.J. and Moon, T.H. (1995) Fractiona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inhibitory peptides from soybean paste.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30-234
  13. 김승호, 이윤진, 권대영 (1999) 전통된장으로부터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물질의 분리., 한국식품과학회지 31, 848-854
  14. 광공업통계조사연보. 통계청(2000)
  15. Park, Keum Yong, B.R.Buttery, C.S.Tan and Seok Dong, Kim (1996) Relationship between seed coat characteristics and water uptake, electrical conductivity after soaking in soybean genotypes. Korean J. Breed., 28, 49-55
  16. 김동휘, 염초애, 김우정 (1990) 콩 품종별 흡수특성 비교. 한국농화학회지, 33, 14-17
  17. 김동휘, 염초애, 김우정 (1990) 침지중 콩의 흡수 및 부피 변화의 속도론적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33, 18-23
  18. 김동만, 윤혜현, 김길환 (1990) 장려품종 콩의 단백질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2, 386-392
  19. 김동만, 진재숙, 김길환 (1990) 장려품종 콩의 형태 및 성분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2, 398-404
  20. 조재선 (1989) 장류의 생산, 수급 및 연구현황과 문제점. 식품과학과 산업 22, 28-37
  21. 소규호, 김기종, 이용구, 김용호 (1995) 메주용 원부재료의 가공적성연구. 과학기술처 선도기수개발사업연구보고서
  22. 한국식품개발연구원 (1998) 전통장류용 메주생산의 산업화 연구. 과학기술부연구보고서
  23.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16th Edition)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 Washington, D.C.
  24. Perkin-Elmer Corporation. (1968) Analytical Methods for 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Perkin-Elmer Corp. Norwalk, Comm.
  25. 김찬호, 김만욱, 최강주, 손현주, 고성룡, 김석창, 위재준, 허정남 (1991) 인삼성분분석법. 한국인삼연초연구소
  26. SAS (1998)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stitute Inc., Cary, NC, U.S.A
  27. Smith, A. K. and S. J. Circle .(1978)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eed. In 'Soybeans: Chemistry and Technology', Vol. 1, 2nd ed. AVI. Publishing. Co., Weatport, CT, 5-76
  28. 정동효, 심상국 (1994) 대두발효식품. 지성의 샘 출판사, 102-144
  29. Smith, A. K. (1978) Soybeans ; Chemistry and technology. AVI. Publishing company, INC. 7
  30. Kim, J.K. (1992)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oysauces taste. Korean J. Food Sci. Nutr., 21, 443-448
  31. 김종규 (1995) 전통발효 식품의 과학화 연구(전통된장의 산업화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보고서
  32. Kim, D.H., Kim, S.H. (1999)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cereals fermented with Mucor and Rhizopus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76-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