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Copper Ions on Over-Acidification of kimchi

구리 이온의 김치산패 억제작용에 관한 연구

  • 채경연 (세종대학교 생활과학과) ;
  • 유양자 (세종대학교 생활과학과) ;
  • 경규항 (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
  • 박세원 (동해대학교 관광외식산업과) ;
  • 김연순 (조선대학교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2.02.01

Abstract

Effect of copper ions (Cu$\^$+/ and Cu$\^$2+/)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especially on their effect on the prevention of over-acidification of kimchi,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Cu$\^$2+/ ion on the growth of individual lactic acid bacterium originally isolated from kimchi was also investigated. The addition of Cu$\^$+/($\geq$4.0mM) or Cu$\^$2+/($\geq$3.0mM) ions in kimchi effectively inhibited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maintained a titratable acidity of less than 1.0% for a periods of 14 days. Leuconostoc mesenteroides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10th day of fermentation in control kimchi, whereas the group with Cu$\^$+/ and Cu$\^$2+/ showed 10$\^$5/-10$\^$6/ CFU/ml at the 14th day of fermentation. This indicates that the addition of Cu$\^$+/ and Cu$\^$2+/ inhibited the production of excessive acids by inhibiting lactic acid bacteria, and allowed Leu. mesenteroides stay alive longer. Fe$\^$2+/ and SO$_4$$\^$2-/ ions did not have any effect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Cu$\^$2+/ inhibited growth of all lactic acid bacteria tested, such as Leu. mesenteroides 6, Streptococcus faecalis 12, Lactobacillus plantarum 14, Lac. brevis 15, Leu. mesenteroides LA 10, and Lac. plantarum LA 97.

김치에 $Cu^{+}$$Cu^{2+}$ 을 1.0, 2.0, 3.0, 4.0 및 5.0 mM 농도로 첨가하여 2$0^{\circ}C$에서 김치의 발효경향을 살펴보고 또한 젖산균 생육에 미치는 구리 이온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Cu$SO_4$와 CuCl의 첨가는 김치에 생육하는 총생균, 젖산균의 생육을 저해하고 김치의 산도를 유지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Leu. mesenteroides의 경우 발효 10일째 대조군의 급격한 감소와는 다르게 발효 14일째에 $10^{5}$ ~$10^{6}$ CFU/ml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Cu^{+}$$Cu^{2+}$의 첨가는 김치의 숙성에 관여하는 주 발효균인 Leu. mesenteroides의 생육기간을 연장시키고 과도한 산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김치의 산패를 지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Fe^{2+}$$SO_4$$^{2-}$ 이온은 김치발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각의 젖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Cu^{2+}$ 이온의 영향을 보기 위하여 각 젖산균마다 Cu$SO_4$를 농도별로 첨가한 후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Leu. mesenteroides 6, Str. faecalis 12, Lac. plantarum 14, Lac. brevis 15, Leu. mesenteroides LA 10, Lac. plantarum LA 97의 6가지 젖산균은 $Cu^{2+}$ 첨가농도에 따른 균주마다 내성의 차이를 보였으나 각각의 균주 모두 $Cu^{2+}$ 첨가에 따라 균의 생육이 저해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남진, 전재근 : 김치의 순간살균방법, 한국농화학회지, 25(4), 197-200 (1982)
  2. 차보숙, 김우정, 변명우, 권중호, 조한옥 : 김치의 저장성 연장을 위한 Gamma선 조사, 한국식품과학회지, 21(1), 109-119 (1989)
  3. Shin, J. K., and Pyun, Y. R. : Inactivi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by pulsed-microwave irration, J. Food Sci., 62(1), 163-166(1997) https://doi.org/10.1111/j.1365-2621.1997.tb04391.x
  4. 임번삼, 김양수, 이병헌, 장근우, 임한백 : 보존성이 연장된 김치류 및 김치통조림의 제조방법, 특허공보 1701, 공고번호 89-4895 (1989)
  5. 신영희, 조성환 : 김치의 보존성 증진을 위한 천연항균제의 개발, 2000년도 추계 연합심포지엄 학술발표회 논문발표집, P4-08, 266 (2000)
  6. 이신호, 조옥기, 박나영 : 김치 숙성중에 미치는 단삼과 감초의 혼합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7(5), 858-863 (1998)
  7. Choi, W. Y., and Park, K. Y. : Increased preservative and antimutagenic activites of kimchi with addition of green tea leaves, J. Food Sci. Nutr, 5(4), 189~193 (2000)
  8. 손유미, 김광옥, 전동원, 경규항 : Chitosan과 다른 보존제 첨가에 따른 김치의 저장성 향상, 한국식품과학회지, 28(5), 888-895, (1996)
  9. 문광덕, 변정아, 김석중, 한대성 : 김치의 선도 유지를 위한 천연보존제의 탐색, 한국식품과학회지, 27(2), 257-63 (1995)
  10. 김순동, 김미향, 김미경, 김일두 : 김치에 첨가한 게껍질 분말의 중화 및 완충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6(4), 569-574 (1997)
  11. 유형근, 김기현, 윤선 : 김치의 저장성에 미치는 발효성당의 영향과 Shelf-Life 예측모델, 한국식품과학회지, 24(2), 107-110 (1992)
  12. 최신양, 이인선, 유진영, 정건섭, 구영조 : 김치발효에 대한 Nisin의 저해효과, Kor. J. Appl. Microbial Biotechnol., 18(6), 620-623 (1990)
  13. Fleming, H. P., and McFeeters, R. F. : Storage stability of vegetable fermented with pH control, J. Food. Sci., 48(3), 975-981 (1983) https://doi.org/10.1111/j.1365-2621.1983.tb14944.x
  14. Chen, K. H., McFeeters R. F., and Fleming, H. P. : Complete heterolactic acid fermentation of green beans by Lactobacillus Cellobiosis, J. Food. Sci., 48(3), 967-971 (1983) https://doi.org/10.1111/j.1365-2621.1983.tb14942.x
  15. 조재선 : 김치의 연구, 유림문화사, 60-75 (2000)
  16. Dunning, J. C., Ma, Y., and Marquis, R. E. : Anaerobic killing of oral Streptococci by reduced, transition metal cations, Appl. Environ. Microbiol., 4(1), 27-33 (1998)
  17. Alexander, E., Pham, D., and Steck, T. R. : The viable but-nonculturable condition is induced by copper in Agrobacterium tumefaciens and Rhizobium leguminosarum, Appl. Environ. Microbiol., 65, 3754-3756 (1999)
  18. Grey, B., and Steck, T. R. : Concentrations of copper thought to be toxic to Escherichia coli can induce the viable but nonculturable condition, Appl. Environ. Microbiol., 67(11), 5325-5327 (2001) https://doi.org/10.1128/AEM.67.11.5325-5327.2001
  19. Sagripanti, J. L., Routson, L. B., and Lytle, D. : Virus inactivation by copper or iron alone and in the presence of peroxide, Appl. Environ. Microbial., 59(12) 4374-4376 (1993)
  20.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37(1), 37 (1995)
  21. Fleming, H. P. and McFeeters, R. F. : A fermentor for study during of Sauerkraut fermentation, Biotechnol. Bioengineer., 31, 189-197 (1988) https://doi.org/10.1002/bit.260310302
  22. Harris, L. G., Fleming, H. P., and Klaenhammer, T. R. : Novel paired starter culture system for Sauerkraut, consisting of a nisin-resistant Leuconostoc mesenteroides strain and a nisin-producing Lactococcus Lactis strain, Appl. Environ. Microbiol., 58(5), 1484-1489 (1992)
  23. 구경형, 강근옥, 김우정 : 김치의 발효과정 중 품질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20(4), 476-482 (1988)
  24. Mheen, T. I., and Kwon, T. W. :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kimchi fermentation, Kor. J. Food Sci. Technol., 16(4), 443-450 (1984)
  25. Frazier, W. C. and Westhoff, D. C. : Food Microbiology. McGraw-Hill Book Co., Singapore, 355-356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