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High-Speed Extraction of Bar Code Region for Parcel Automatic Identification

소포 자동식별을 위한 바코드 관심영역 고속 추출에 관한 연구

  • 박문성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우성기술연구센터) ;
  • 김진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우성기술연구센터) ;
  • 김혜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우성기술연구센터) ;
  • 정회경 (배재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Published : 2002.10.01

Abstract

Conventional Systems for parcel sorting consist of two sequences as loading the parcel into conveyor belt system and post-code input. Using bar code information, the parcels to be recorded and managed are recognized. This paper describes a 32 $\times$ 32 sized mini-block inspection to extract bar code Region of Interest (ROI) from the line Charged Coupled Device (CCD) camera capturing image of moving parcel at 2m/sec speed. Firstly, the Min-Max distribution of the mini-block has been applied to discard the background of parcel and region of conveying belts from the image. Secondly, the diagonal inspection has been used for the extraction of letters and bar code region. Five horizontal line scanning detects the number of edges and sizes and ROI has been acquired from the detection. The wrong detected area has been deleted by the comparison of group size from labeling processes. To correct excluded bar code region in mini-block processes and for analysis of bar code information, the extracted ROI 8 boundary points and decline distribution have been used with central axis line adjustment. The ROI extraction and central axis creation have become enable within 60~80msec, and the accuracy has been accomplished over 99.44 percentage.

현재,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소포를 적재하고, 우편번호를 입력하여 구분한다. 구분된 소포 중에서 기록관리 대상의 경우에는 바코드를 판독하여 처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m/sec 이내로 이송되는 소포를 라인 CCD(Charged Coupled Device)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4,096$\times$4,096)한 후, 바코드 ROI(Region of Interest)의 추출을 위해 32$\times$32 크기의 미세블록의 검사방법을 적용하였다. ROI 추출 단계는 미세블록(128$\times$128)들의 최대 및 최소값의 차이 분포를 이용하여 컨베이어 벨트 영역과 소포의 바탕면은 제거하였다. 그리고 문자열과 바코드 영역을 검출하기 위해 대각선(diagonal) 검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바코드 ROI 만을 분리하기 위해 미세블록의 중앙에 5개의 수평라인으로 스캔하여 에지 수와 크기에 대한 변화량을 검사하였다. 검출된 영역 중에서 잘못 검출된 영역을 그룹의 라벨링 과정에서 그룹의 크기를 비교하여 제거하였다. 미세블록 검사과정에서 누락된 바코드 영역을 보정하고 바코드의 정보 해석을 위해 추출된 ROI의 외곽좌표들과 기울기 분포를 이용하여 중심 축 라인과 ROI 영역의 기울기에 따라 중심축을 보정하는 방법 등을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바코드의 ROI 추출과 중심축 생성은 60~180msec이내에 가능하게 되었으며, ROI 추출의 정확도는 99.44% 이상이 달성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TTA.IS-16388, 'Information Technology-Automatic Identification and Data Capture-Bar Code Symbology and Specification-Code 39,' TTA, 1999
  2. TTA.IS-16390, 'Information Technology-Automatic Identification and Data Capture-Bar Code Symbology and Specification-Interleaved 2 of 5,' TTA, 1999
  3. 오호근, '혁신적 자동인식 기술의 핵심 바코드 기술 및 응용', 성안당, 1997
  4. 박문성, 송재관, 우동진, '우편물 자동처리를 위한 한글 4 State 바코드 시스템',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제7권 제1호, pp.146-155, 2000
  5. 박문성, 김혜규, 정희경, '우편용 4-state 바코드 고속판독 방법에 관한 연구',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제8-D권 제3호, pp.285-294, 2001
  6. 최호석, 정윤수, 박문성, 이용준, 박영태, '웨이블릿 도메인에서 바코드 영역 추출 기법', 한국정보과학회 2001 추계학술발표회, Vol.2, pp.448-450, 2001
  7. 박문성, 최호석, 김진석, 김혜규, '블록 텍스쳐를 이용한 소포영상에서 바코드 ROI 추출에 관한 연구', 정보처리학회 2002 춘계학술발표회, Vol.9, pp.1131-1134, 2002
  8. ISO/IEC/JTCl/SC31, 'Bar Coding-Symbology Specification-Code 128,' March, 1999
  9. UPU, 'Technical Standards Manual,' International Bureau of the Universal Postal Union, 1998
  10. Hitoshi Uehara, Yoshiaki Nakamura, Masataka Nakagawa, Terutaka Tanaka, Akira Ohzawa, Ichiro Isawa, Hiroshi Miyoshi, 'Reseach on Barcodes for Mechanized Mail Processing,' http://www.iptp.go.jp/, July, 1995
  11. J. R Parker 'Algorithms for image processing and computer vision,' pp.250-274, 1999
  12. Rafael C. Gonzales & Richard E. Woods, 'Digital Image Processing,' pp.40-43, 1992
  13. Maurizio Pilu, 'Extraction of illusory linear clues in perspectively skewed documents,' CVPR2001, pp.1-6, Dec., 2001 https://doi.org/10.1109/CVPR.2001.990498
  14. Y. P. Zhou, C. L. Tan 'Hough-based model for recognizing bar charts in document images,' Proceedings of SPIE Document Recognition and Retrieval VIII, Vol.4307, 2001 https://doi.org/10.1117/12.410854

Cited by

  1. A Morphology Technique-Based Boundary Detection in a Two-Dimensional QR Code vol.13, pp.2,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2.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