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vey on Korean Traditional Kitchen Appliances of Kyongsang-Buk-do Area

경북지역 주부들의 전통 부엌 세간의 보유 현황 및 이용실태 조사 연구

  • 한재숙 (영남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 최영희 (대구산업정보대학 조리과) ;
  • 조연숙 (영남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 변재옥 (영남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 한경필 (영남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 김현옥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 정종기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 최석현 (경동정보대학 식품조리과)
  • Published : 2002.08.01

Abstract

Housewives residing in the Kyongsang-Buk-do area were surveyed to determine their ownership of Korean traditional kitchen appliances and their usages. A breakdown of the appliances for the survey was as follows: 16 tableware, 17 household utensils, 15 heating utensils, 14 ceramic and earthen pottery, 6 stone utensils, 9 cooking utensils, 9 utensils made of the dried bamboo and bush clover, and 13 dining tables ("sang"). The types of the appliances with the largest ownerships and most frequently used were as follows: The jeopsi was most frequently owned, followed by the daejeop and the jaengban. The most frequently used item was the jubal,, followed by the daejeop and the jeopsi. Among the wooden utensils, bangmangi was most frequently owned, followed by the chanjang, the che, the doe, mal and hop. The most frequently used household utensil was the chanjang, followed by the takjasang and the doe, mal and hop. The utensil the most people owned fur heating was the jujeonja, followed by the seoksoe, the musoesot and the siru. The most frequently used utensil for heating was the jujeonja, the musoesot and the seoksoe, in the order. As for the ceramic and earthen pottery, hangari and dok were owned and used most frequently. The maetdol and the jeolgu, though very low in their ownership rate, were most frequently owned items among the stoned utensils. The kal and the doma were the most frequently owned and used cooking utensils. The sokuri, and the chaeban and the baguni were the most frequently owned among the utensils made of the dried bamboo, bush clover and straw, while the sokuri was used the most frequently, followed by the chaeban and the jori. Among the dining tables, the kyojasang was the item most frequently owned, followed by the seonban and the chaeksangban, while the wonban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followed by the kyojasang and the chaeksangban.eksangban.

본 조사는 경상북도 전지역에 거주하는 주부들을 대상으로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전통적인 부엌 세간과 그 이용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은 식기류 16종, 나무로 만든 세간.도구 17종, 불에 쓰는 도구 15종, 토기.옹기류 14종, 돌로 만든 도구 6종, 조리용구 9종, 대 .싸리로 만든 도구 9종, 상 13종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으며 각각에 대한 보유 현황 및 이용실 태는 다음과 같다. 대체로 많이 보유하고 있는 식기류는 접시, 대접, 쟁반의 순이었으며, 이용실태는 주발, 대접, 접시의 순으로 많았다. 나무로 만든 세간은 방망이, 찬장, 체, 되 말.홉의 순으로 많이 보유하고 있었으며 찬장, 탁자상, 되.말 홉의 순으로 이용율이 높았다. 불에 쓰는 도구는 주전자, 석쇠, 무쇠솥, 시루의 순으로 많이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용율은 주전자, 무쇠 솥, 석쇠의 순으로 높았다. 토기.옹기류는 항아리, 독의 순으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었고 이용률 역시 독과 항아리가 가장 높았다. 돌로 만든 도구는 맷돌과 절구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반면 이용을 은 매우 낮았으며 조리용구는 칼과 도마의 보유율과 이용률이 높았다. 대.싸리.짚으로 만든 도구는 소쿠리, 채반, 바구니의 순으로 많이 보유하고 있었고 이용률은 소쿠리, 채반, 조리의 순으로 높았다. 상은 교자상, 선반, 책상반의 순으로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용률은 원반, 교자상, 책상반의 순으로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J.Korean Dietary Culture v.3 no.3 The study of the housewives conciousness on the Korean traditional food in Taegu area Cho,Yeon Sook;Hong,Sang Ook;Han Tae Sook
  2. J. Korea Home Economics Association v.31 no.3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 knowledge and opin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s(Ⅰ) Lee,Kyung Ae;Kim,Woo Kyung;Jang,Young Ae
  3. J.Korean Dietary Culture v.10 no.4 A study 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in Taejon Koo,Nan Sook
  4. 한국식문화학회지 v.11 no.4 한국 전통음식의 맛과 멋 최성자
  5. J. Korean Dietary Culture v.2 no.2 A historical study on the architectural cooking and story spaces in traditional Korean houses Joo,Nam Chull
  6. 한국식문화학회지 1988년도 학술대회 초록집 한국 고대의 부엌과 그 세간에 대한 연구 이은창
  7. 우리의 부엌살림 윤숙자;박록담
  8. 고대 한국의 식생활사 연구 이성우
  9. J.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ery Life v.10 no.6 A survey on awareness and use for traditional foods of Housewives in Kyong-buk Area Han,Jae Sook;Han,Gyeong Phile;Sung,Sun Hyang;Joe,Youn Sook;Park,Kyung Sook;Kim,Hyun Ok;Jung,Jong 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