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 Uptake and Germination of Soybean Seed as Affected by Soaking Condition

침지조건에 따른 콩 종실의 수분흡수율 및 발아특성

  • 배경근 (㈜풀무원기술연구소) ;
  • 남승우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식물생명과학부) ;
  • 김경남 (㈜풀무원기술연구소) ;
  • 신상진 (㈜풀무원기술연구소) ;
  • 황영현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식물생명과학부)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Varietal difference in seed shape and size, water absorption rate, and soybean sprouts was compared. In general, soybean seeds of yellow seed-coat and spherical shape with 100 seeds of 9.0$\pm$2g were evaluated as the best ones; Pungsannamulkong out of tested varieties was considered to be the best one in these respect. Varietal difference in water absorption yale depending on the soaking duration and temperature was recognized; Jungeri and Jillin 3 showed higher water absorption rate at higher temperature but it was completely vice versa for Pungsannamulkong. It took about 15 hours(soaking at 2$0^{\circ}C$) for seed shape of size to grow to 10mm in length. Maximum enlargement in thickness of soybean seeds was made right after the completion of repeated soaking-drying treatment but three hours and nine hours soaking were needed for one time-soaking and non-soaking treatment, respectively. Varietal difference in germination rate was recognized between one hour's soaking at 2$0^{\circ}C$ and two hour's soaking at 15$^{\circ}C$ The growth rate for Jillin 3 was excellent at all soaking methods and temperatures while three hours of soaking was the best for Jungeril and Pungsannamulkong, regardless of soaking temperatures. The growth of hypocotyl length showed somewhat faster in repeated soaking-drying than one time-soaking and non-soaking while the increase of hypocotyl thicknes was better in one-time soaking than repeated soaking-drying.

콩나물 재배시 침지조건과 방법에 따른 품종별 형태적 특성과 수분흡수율 및 생육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외형적 특성은 100립중이 평균 9.0$\pm$2g인 소립종으로, 종피색은 황색이며 구형인 것이 좋으며, 공시 품종 중 풍산나물콩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나물콩 품종의 수분흡수율은 품종간에 다소의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준저리와 길림3호는 온도가 높을수록 수분흡수율이 높았고, 풍산나물콩의 경우는 20-$25^{\circ}C$구간에서 양호하였다. 3. 침지 후 콩 종실의 길이는 l10mm 이상에 도달하는 시간이 약 15시간, 두께의 경우는 건수침 반복은 침지완료 이후, 1회 침지는 3시간이후, 무침지는 9시간이후 이었고, 콩 종실의 수분흡수는 수온이 2$0^{\circ}C$이내인 경우 1회 침지구나 건수침 반복구의 경우 초기 3시간 이내에 급속하게 이루어졌다. 4. 콩의 발아율은 2$0^{\circ}C$에서 1시간 처리구와 15$^{\circ}C$에서 2시간 처리한 것에서 품종간의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발아세의 경우 길림 3호는 침지방법과 처리온도에 관계없이 양호하였고, 준저리와 풍산나물콩의 경우는 3시간 침지구에서 처리온도에 관계없이 가장 양호하였다. 5. 콩나물의 길이는 다른 무침지와 1회침지 방법에 비해 건수침 반복구에서 빠른 생육을 보였고, 두께의 증가는 1회 침지구가 건수침 반복구보다 양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최희돈, 김성수, 김경탁, 이진열, 박원목. 2000. 침지처리가 콩나물의 생육 및 부패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식품과학회지, 32(3) : 584-589
  2. Dawson, E. H., J. C. Lamb, E. W. Toepfer and H. W. Warren. 1952. Technicall Bull. 1051, U.S. Dept, of Agr. Washington D.C
  3. 정찬식. 백인열, 고미석. 1996. 유색콩 수집종의 주요 생태적 특성. 한국작물학회지 41(2): 173-177
  4. 정우경. 1998. 나물콩의 품종과 재배기간에 따른 콩나물의 물리화학적 및 관능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5. 김동희, 염초애, 김우정. 1990. 침지중 콩의 흡수 및 부피변화의 속도론적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33(1):18-23
  6. Kim, S. D., E. H. Hong and Y. H. Kim. 1994. Present status of soybean reduction and perspectives of varietal improvement in Korea, 한국콩연구회 10주년기념 발표 논문집. p5-37
  7. 이영헌, 이종욱, 조상준. 1986. 대두의 침지중 고형물의 용출속도에 미치는 침지 온도의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18(6): 497-502
  8. 오경미, 이숙희. 최흥식. 1992. 수침과정 전후의 한국산 검정콩의 지질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J, Korean Soc. Food Nutr. 21(1): 29-35
  9. Quest, D. G. and S. D. da Silva. 1977. Temperature dependence of hydration rate and effect of hydration on the cooking rate of dry legumes. J. Food Sci., 42 : 1299 https://doi.org/10.1111/j.1365-2621.1977.tb14482.x
  10. Silva, S. D. and D. G. Quast. 1977. Temperature dependence of hydra-tion rate effect of hydration on the cooking rate of dry legumes. J. Food Sci., 42(5): 1299-1303 https://doi.org/10.1111/j.1365-2621.1977.tb14482.x
  11. Sinhg, B. B., H. H. Hadley and F. I. Collins. 1968. Distribution of fatty acids in germination soybean seed. Crop Sci., 8:171 https://doi.org/10.2135/cropsci1968.0011183X000800020010x
  12. Wang, H. L., E. W. Swain, C. W. Hussel and H. D. Health. 1979. Hydration of whole soybeans affects solid losses and cooking quality. J. Food Sci., 44: 1510 https://doi.org/10.1111/j.1365-2621.1979.tb06474.x
  13. Yoshida, H. and G. Kajimoto. 1978. Fatty acid distribution in glycolipids and phospholipid in cotyledons of germinating soybeans. Agrc. Biol. chem, 42: 1323 https://doi.org/10.1271/bbb1961.42.1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