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isture Sensitivity and Aging Effects of Recycled Wastepaper fiber Cement Composites

폐지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수분민감성 및 열화특성

  • 원종필 (건국대학교 지역건설환경공학과) ;
  • 배동인 (건국대학교 지역건설환경공학과) ;
  • 박찬기 (건국대학교 지역건설환경공학과) ;
  • 박종영 (임업연구원 목재가공과)
  • Published : 2002.04.01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moisture and aging effects of wastepaper fiber-cement composites. Wastepaper fibers is obtained by a dry process. Wastepaper fiber-cement composites was manufactured by the hatscheck process. The effects of moisture and aging on the performance of wastepaper fiber-cement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through accelerated laboratory tests simulating the effects of moisture sensitivity and wet-dry cycles as well as freeze-thaw cycles and long-term drying. They were shown to possess acceptable moisture and aging performance compared with virgin fiber cement composites.

본 연구는 폐지섬유보강 시멘트복합체의 수분 민감성 및 열화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폐지섬유는 건조공정에 의해 생산되었으며 슬러리-탈수 공법을 사용하여 폐지섬유보강 시멘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폐지섬유보강 시멘트복합체의 수분 민감성 덴 열화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분민감성, 건조-습윤반복, 동결융해, 장기 오븐 건조의 영향을 실험실에서 촉진시험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폐지섬유보강 시멘트복합체에 대한 수분영향 및 열화에 대한 시험결과는 순수목질섬유보강 시멘트복합체와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시험결과 폐지섬유보강 시멘트복합체는 수분노출 덴 장기 열화상태에서도 적절한 성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원종필 외, "셀룰로오스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내구성 향상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17권 1-2호, 1997, pp.229-235.
  2. 원종필 외, "고성능 셀룰로오스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수분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제8권 5호, 1996, pp.163-170.
  3. 원종필 외, "폐지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최적배합비도출,"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제13권 14호(통권 64호), 2001, pp.346-353.
  4. KSF 2456, 급속동결응해에 대한 콘크리트의 저항시험방법, 1998.
  5. Coutts, R. S. P., "Wastepaper Fiber in CementProduc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ementComposites and Lightweight Concrete, Vol. 11,No. 3, August. 1989, pp.143-147. https://doi.org/10.1016/0262-5075(89)90085-7
  6. Hiragima, M., Kago, M., Kobayashi, Y. and Matsuo, R., "Research on Manufacture of Pulp Cement Board Using Recovered Pulp From Municipal Solid Waste for Reinforcement(Partn) : Batchwise Formation of Pulp Cement Boards," Japan Tappi, Vol.36, No.5, May, 1982,pp.557-564. https://doi.org/10.2524/jtappij.36.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