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외부부착 보강된 교량 바닥판 균열폭의 반경험적인 예측

Semi-Empirical Prediction of Crack Width of the Strengthened Bridge Deck with External Bonding Plastic

  • 심종성 (한양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 오홍섭 (한양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발행 : 2002.04.01

초록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은 건조수축 및 온도변화 등에 의하여 초기 1차균열이 발생하고, 사용기간 동안 반복되는 차량하중의 크기와 철근 간격 등에 의하여 초기 균열이 이방향 균열로 점차 발전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균열 예측식이 일방향 부착-슬립이론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철근과 보강재의 간격에 따라 변화되는 교량 바닥판의 균열폭을 예측하고 보강된 바닥판의 사용성을 평가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험결과에 기초하여 성능향상된 바닥판의 균열 메카니즘을 구명하였으며, 이로부터 사용성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균열예측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균열예측식은 기존 균열식에 비하여 예측결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철근 항복 이후 철근과 보강재의 변형률이 급격히 증가할 때 오차범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보다나은 균열예측을 위해서는 피로 하중하에서의 철근 항복이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Dry shrinkage md temperature change cause to develope concrete bridge decks on main girders have initial unidirectional cracks in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As they receive traffic loads, the crack gradually propagate in different directions depending on the concrete dimension and reinforcement ratio. Since existing equations that predict crack width are mostly based on the one directional bond-slip theory,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actual crack width of a bridge deck with varying the spacing of rebar or strengthening material and to estimate the improvement rate in serviceability of the strengthened bridge deck. In this study, crack propagation mechanism is identified based on the test results and a new crack prediction equation is proposed for evaluation of serviceability. Although more accurate results are derived using the proposed equation, the extent of error is increased as the strain of the rebar or the strengthening material increases after the yielding of rebar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better predict the crack width after the rebar yields under fatigue loading condi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심종성, 오홍섭, 유승무, “성능향상된 교량 상판의 균열 폭 예측에 관한 연구," 구조물진단학회 봄학술발표회논문집, Vol. 5, No.1, 2001, 5, pp.93-98.
  2. 오홍섭, “노후화된 교량 상판의 조기파괴 방지 및 수명 연장을 위한 보강설계기법"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6.
  3. Beeby, A., W., "The Prediction and Control of Flexural Cracking in Reinforced Concrete Members," ACI SP30, American Concrete Institute, 1971, pp.43-54.
  4. Nawy, E. G. and Blair, K., "Further Studies on Flexural Cracking Control in Structural Slab Systems," ACI SP30, American Concrete Institute, 1971, pp.1-42.
  5. Park, R. and Gamble, W. L., "Reinforced Concrete Slabs," John Wiely & Sons Inc., 2000.
  6. Park, R. and Paulay, T.,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John Wiely & Sons, Inc., 1975.
  7. CEB-FIP, "Structural Concrete-Textbook on Behavior, Design and Performance Updated Knowledge of CEB/FIP Model Code 1990 Vol. 2," FIP, July, 1999, pp.75-102.
  8. ACI, "Building Code Requirement for Structural Concrete(ACI 318-95) and Commentary (ACI 318R-95)," American Concrete Institute, 1995.
  9. Frosch, J. R., "Another Look at Cracking and Crack Control in Reinforced Concrete," ACI Structural Journal, Vol. 96, No.3, American Concrete Institute, 1999, pp.437-445.
  10. 심종성,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에 대한 보수 . 보강 공법의 효과분석 연구, 한국도로공사, 2000.

피인용 문헌

  1. Damage of Overlaid Concrete Structures Subjected to Humidity Changes in the Atmosphere vol.14, pp.5, 2002, https://doi.org/10.4334/JKCI.2002.14.5.766
  2. Theoretical Analysis of Interface Debonding on the Strengthened RC Bridge Decks vol.14, pp.5, 2002, https://doi.org/10.4334/JKCI.2002.14.5.6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