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Habitat for Multiplication of Wild-birds in Urban Woodland

도시공원내 야생조류의 유치증식을 위한 서식지에 관한 조사

  • 이성규 (환경부 낙동강환경관리청) ;
  • 김종갑 (경상대학교 산림과학부) ;
  • 민희규 (환경부 낙동강환경관리청)
  • Published : 2002.10.01

Abstract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vals of birds observed in Bibong, Chinju-castle, Nosan and Saho parks were 49 and 4,349, 46 and 6,453, 37 and 2,817, and 33 and 6,014, nespectively The dominant species in all survey areas were shown in the order of Passer montanus(21.8%), Aegithalos spp.(20.7%), Pica pica(8.7%), Hypsipetes amaurotis(7.6%), Parus major(6.4%), Carduelis spp.(4.6%). Migration of birds was the order of residents, summer visitor, winter visitor, and passage migrant. The number of bird species appeared was the fewest in winter as 40 species and the most in spring as 53 species. Species diversity was the highest in Bibong park as 1.3256 and followed in the order of Sanho park, Nosan park, and Chinju-castle park. The nesting guild was higher at outside and artificial nesting guild(7-15 species) compared with hole, canopy, bush nesting guild(1-7 species) in all survey areas. The breeding forage guild was higher at canopy and bush(12-25 species) than that at outside, artificial, and air forage guild(2-8 species).

공원별 관찰된 조류의 서식수는 비봉공원 49종 4,349마리, 진주성지 46종 6,453마리. 노산공원 37종 2,817마리, 산호공원 33종 6,014마리로 조사되었으며, 4개 공원 전지역에서 우점도와 출현빈도가 높았던 조류는 참새(21.8%), 오목눈이류(20.7%), 까치(8.7%), 직박구리(7.6%), 박새(6.4%), 방울새류(4.6%)순이었다. 조류군집을 이동성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텃새 > 여름새 > 겨울새 > 통과새 순으로 4개공원 모두 텃새가 우점하였으며 종 수는 겨울철에 40종으로 최소, 봄철에 53종으로 최대를 나타내었다. 공원별 분포조류에 대한 종다양도지수는 비봉공원이 1.3256으로 종다양도가 가장 높았고 산호공원, 노산공원, 진주성지 순으로 나타났다. 공원별 서식조류에 대한 영소길드와 채이길드를 조사한 결과 4개공원 모두 영소길드는 공원수목의 수동, 수관, 관목을 이용한 영소길드(1∼7종)보다 외부, 인공 영소길드(7∼15종)가 높은 반면 번식기 채이길드는 외부, 인공, 공중 채이길드(2∼8종)보다 수관, 관목을 이용한 채이길드(12∼25종)가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태호, 조창근. 1989. 대구대학교 경산캠퍼스의 야생조류분포에 관한 연구. 대구대농과연집 3:57-67
  2. 김상욱, 김윤산. 1972. 자연영소조류의 육추기 경과습성과 식습성에 대하여. 임업시험장 연구보고 17:45-59
  3. 김상욱, 우한정. 1987. 산림유익조류의 유치증식시험(II)-진박새의 생태. 임연연보 35:123-129
  4. 김혜숙. 1995. 산림환경에 따른 야생조류 군집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3-51
  5. 박승범. 1991. 도시공원 이용만족도에 기초한 도시공원의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9(3):87-97
  6. 박찬열. 1994. 야생조류의 서식에 적합한 도시환경림 조성 및 관리 방안.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8-49
  7. 심우창. 1984. 도시화지역 야생동물서식처설계를 위한 기초적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2(2):103-114
  8. 양윤재. 1982. 도시환경과 녹지공간. 한국조경학회지 10(1):27-31
  9. 오영창. 1991. 겨울철의 야생동물 보호. 자연보존 76:1-6
  10. 우한정, 김상욱. 1985. 산림유익조류의 유치 증식시험(I)-박새의 생태. 임연연보 32:77-87
  11. 우한정, 김상욱. 1988. 산림조류의 서식환경에 관한 연구. 임연연보 37:161-173
  12. 우한정. 1992. 철새. 자연보존 80:30-35
  13. 원병오, M.E.J.Gore. 1971. 한국의 조류. 대원출판사. pp. 32-38
  14.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 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1126p.
  15. 이우신. 1996. 일본 북해도 낙엽활엽수림의 산림환경구조와 번식 조류 군집과의 관계. 한국생태학회지 19(4):353-361
  16. 이우신, 김상욱. 1996. 자연생태계와 훼손된 생태계에서의 야생조류의 인공새집과 먹이. 한국조류학회지 3(1):43-50
  17. 이우신. 1997. 도시내 야생조류의 서식현황과 보호대책-서울시를 사례로-. 환경생태학회지 11(2):240-248
  18. 이우신, 임신재. 1998. 도시화의 영향에 의한 조류 군집의 변화. 한국조류학회지 5(1):47-55
  19. 이우신, 조기현, 임신재. 1998. 남산지역 조류 군집의 서식 현황과 보호 및 관리 방안. 한국생태학회지 21(5-3):665-673
  20. 조기현. 1996. 광릉지역 활엽수 천연림과 침엽수 조림지의 서식지 구조와 조류군집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8-46
  21. 조우, 이경재. 1998. 도시환경림 및 군락식재지의 배식 기법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1):70-82
  22. 최재식, 김재생, 김종갑. 1991. 한국산 산림조류의 서식생태와 중금속 축적. 한임지 80(2):177-186
  23. 하경삼, 함규황. 1990. 지리산의 고도별 조류 분포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경남대학교 부설 기초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171-183p.
  24. 함규황, 백운기, 유재평, 최재식. 1992. 지리산 산림조류의 서식실태에 관한 연구. 14:113-128
  25. Hino, T. 1985. Relationships between bird community and habitat structure in shelterbelts of Hokkaido, Japan. Oecologia 65:442-448 https://doi.org/10.1007/BF00378921
  26. Shannon, C. E. and E.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of Illionis Press, Ubana, Chicago, London. pp. 1-61
  27. Whittaker, R. H. 1972. Evolution and measurement of species divesity. Taxon 21:213-251 https://doi.org/10.2307/1218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