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rmers' Views on the Farming in Seoul

서울지역 농업인의 영농의식

  • Published : 2002.03.25

Abstract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the farm area in Seoul, in providing fresh vegetables, a pleasant environment and a good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have greatly reduced the farm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rmers' intentions and attitudes to provide supporting data for planning the strategy of urban agricultural development. Al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ontingency tables and the Chi-square test using the SAS computer statistical package. Based on analysis of the survey data, the leaseholders were fou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than the landowning farmers. Also, the small-scale farmers with green houses showed greater job satisfaction than the ordinary large-scale farmers. Farmers' views on the farming in Seoul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status. Therefore, agricultural strategies in there should be considered their different attitudes.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철, 서울근교 화훼재배농가의 현황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2
  2. 이병석외 3 명, 우리나라 농업 및 농촌에 대한 도시민의식에 관한 연구, 농어촌진흥공사. 1991
  3. 이정훈, 서울시 인접 농업지역의 '비닐하우스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4
  4. 이재덕, 도시주변 농촌지역의 변화유형과 농업형태 분화,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5. 장승변, 도시내 농지의 바람직한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강서구내 농지에 대한 지역주민의 의식조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6. 장지인, 박상규, 이경주, SAS/PC를 이용한 통계자료 분석, 법문사, 1993
  7. 한표환, 도시내 농지활용 및 보전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92-18( 제163권), 1993
  8. 한표환, 박희정, 대도시 농지전용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지방행정연구, vol. 7. no. 4, pp. 1-18, 1992
  9. 경기개발원, 대도시주변 농촌지역정비에 관한 연구, 1996
  10. 농림수산부, 농림수산통계연보, 1992-1999
  11. 농촌진흥청, 농가경영 상담조사자료, 1994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도시지역의 토지소유와 이용에 관한 사례조사연구, 1994
  13. Bunce,M , Rural Settlement in an Urban World, St.Martin’s Press, 1982
  14. Munton,R, 'Farming on the Urban Fringe' in Johnson, J. H., Suburban Growth, 201-224, 1974
  15. 和田照男編著. 地域農業振興と農地利用計劃, 地球社,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