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parative Analysis of Science Process Skills and Teaching Methods in the 6th and the 7th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a

제 6차와 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기능과 교수-학습 방법의 비교 분석

  • Published : 2002.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teaching methods between the 6th and the 7th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For this study, science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from the 3rd to the 6th grade were analyzed. In this research the science process skills are divided by basic process skills(BPS) and integrated process skills(IPS). The BPS is composed of observing, classifying, measuring, predicting and inferring skill, which are 5 subcategories. The IPS is composed of problem cognition, formulating hypothesis, controlling variables, transforming data, interpreting data, drawing result, and generalization, which are 7 subcategories. The results found in the analysis of science process skills in the 6th and 7th science textbooks are as follows: 1. The percentage of the BPS was increased, but the IPS was decreased in the 7th than the 6th. 2. The percentage of the IPS was higher than the BPS in the 6th science textbooks, but the BPS was higher than IPS in lower grade and the IPS was higher than the BPS in higher grade in the 7th textbooks. 3. Observing and problem cognition skill were most dominant in the 6th and 7th science textbooks. 4. The percentages of observing(24.8%), classifying(5.4%), measuring(5.6%), inferring(6.0%) in the BPS and interpreting data(4.4%) in the IPS were increased, but predicting(3.8%), formulating hypothesis(0.5%), controlling variables( 1.8%), transforming data( 1.2%), drawing result(0.8%) and generalization(0.9%) skills were decreased in the 7th. And teaching methods suggested in the curriculum are as follows: the percentages of learning by observation(19.2%) and role play(0.1 %) were decreased, but learning by experiment(6.2%), learning by discussion(2.0%), learning by investigation(4.6%) and creative learning(6,4%) were increased in the 7th than the 6th.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basic process skills were emphasized in the 7th science textbooks than the 6th and the science process skills in the science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were distributed by the grade level of the elementary children.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내용을 과학 탐구 기능과 교수 학습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3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내용을 과학탐구기능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첫째, 제7차 교육과정에서 기초탐구 기능은 증가하였으나 통합탐구 기능이 감소하였다. 둘째, 제6차에서는 조사 학년 모두에서 기초탐구 기능보다 통합탐구 기능의 비율이 높았고, 제7차에서는 저학년에서는 기초탐구 기능이, 고학년에서는 통합탐구 기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제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탐구 기능을 기초탐구 기능과 통합 탐구 기능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기초탐구 영역에서는 관찰기능이 각각 63.8%, 54.4%, 통합탐구 영역에서는 문제인식에 관한 탐구 활동이 각각 75.3%, 82.5%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과학탐구 기능 전체를 비교해 볼 때 제7차 교육과정에서 관찰(24.8%), 분류(5.4%), 측정(5.6%), 추리(6.0%), 자료해석(4.4%) 기능이 증가하였고, 예상(3.8%), 가설 설정(0.5%), 변인통제(1.8%), 자료변환(1.2%), 결론도출(0.8%), 일반화(0.9%) 기능이 감소하였다. 다섯째,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분석 결과,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관찰학습이 감소한 반면에, 실험학습, 토론학습, 조사 및 과제학습과 창의학습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제7차 교육과정 과학과 교과서는 제6차에 비해 기초탐구학습과 통합탐구기능이 학년 아동의 인지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구성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1997a). 초등학교 3, 4, 5, 6학년 자연 교과서. (주)국정교과서: 충남
  2. 교육부(1997b). 초등학교 3, 4, 5, 6학년 자연 교사용 지도서. (주)국정교과서: 충남
  3. 교육부(1998).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주)대한교과서: 서울
  4. 교육부(2001a). 초등학교 3, 4, 5, 6학년 과학 교과서. (주)대한교과서: 서울
  5. 교육부(2001b). 초등학교 3, 4, 5, 6학년 과학 교사용 지도서. (주)대한교과서: 서울
  6. 구수정, 김영신, 김병석, 이성조, 정완호(2000).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BSCS 통합 권고안과 제6차, 제7차 교육과정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396-410
  7. 김진용, 정완호, 허명(1993). 한국의 국민학교 자연 교과서와 SCIIS의 탐구 활동 비교분석. 한국과학교육회지, 13(1), 56-65
  8. 김진철 외 10명(2000). 수업 길라잡이. 서울. 학문사
  9. 김효남(1988). 국민학교 과학내용의 분석과 발전적 모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8(2), 23-32
  10. 김효남, 이영미(1995). 한국과 일본 5학년 과학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4), 452-458
  11. 남철우, 김석중(1998). 통합과학교육론. 학문사: 서울
  12. 박승재(1994).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서울
  13. 우종옥, 이항로, 이경훈(1991). 대학 수학능력 시험의 수리. 탐구 영역중 지구과학 교과에 관련된 탐구능력 측정을 위한 행동 요소의 추출과 평가 목표의 상세화 연구 I.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1), 83-96
  14. 우종옥, 정완호, 권재술, 최병순, 정진우, 허명(1992).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 개발체제 분석 및 평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2), 109-128
  15. 장남기, 임영득, 강호감, 김영수, 김희백(1994). 탐구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서울
  16. 조정일(1989). 초. 중.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에 대한 탐구과제 분석과 탐구내용 분석-생물내용을 중심으로. 생물교육학회지, 17(2), 17-26
  17. 한안진(1987). 현대탐구과학교육. 교육과학사: 서울
  18. 허명(1984). 과학탐구 평가표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 57-63
  19. APU(1984). Science in School, Age 15, Report No. 1. Center for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The University of Leeds
  20. Klopfer, W. W.(1971). Evaluation of Learning in Science. In Bloom, B., Hastings, J. & Madaus, G. (Eds.). Handbook of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of Student Learning. New York : Ma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