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idity of the Criteria for Assessing the Degree of Preference of Science Learning Programs for Gifted Elementary Pupils

과학 학습 활동에서 초등학교 상위집단 학생들이 선호하는 과제 특성 평가 준거의 타당성

  • Published : 2002.03.30

Abstract

Three conjectures as the criteria for developing differentiated science learning program for gifted elementary students were deriv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report: 1) The students' reasons why certain educational programs were thought to be interesting or profitable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3 criteria; novelty, curiosity, participation. 2) Students used to think that the programs were interesting if at least anyone of the above 3 criteria is fulfilled. 3) They think, especially, that the programs were profitable if the curiosity criterion is satisfied. To check these conjectures, 47 students were investigated with a Likert type questionnair asking how much the given program is interesting and profitable to themselves after they finished a set of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초등학교 상위 집단에 대한 과학 수준별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준거로서 사전 연구에서 세 가지 작업 가설이 제안되었다: 1) 학생들이 어느 프로그램에 대하여 재미있거나 유익하다고 응답하는 이유는 신기성, 지적 호기심 자극, 참여성 등 3 준거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2) 이러한 준거들 중 어느 하나가 충분히 만족되면 학생들은 그 프로그램을 재있다고 여긴다. 3) 특히 지적 호기심이 자극되는 프로그램 유익하게 여겨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사하기 위하여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4-5학년 상위 집단 학생 47명에게 수업을 진행한 다음, 각 프로그램에 대하여 위 세 가지 준거에 대한 리커트 점수 평가를 하게 하였다. 또한 각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도, 유익도 순위를 평정하게 하고, 가장 흥미있거나 유익하게 생각하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그 이유를 자유롭게 응답하게 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설문조사 결과 작업 가설이 의미 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1997). 제7차 교육과정
  2. 김재우, 오원근, 박승재(1997). 수평 및 낙하운동에 대한 과학사적 대립개념의 대비적 토론이 무중력 상황 도입을 통한 중학교 l학년 학생의 개념 변화에 미친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1). 31-44
  3. 박종석, 오원근, 박종욱, 정병훈(1999). 과학캠프 활동 평가를 통해 추출한 과학 영재프로그램의 적절성 준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329-339
  4. 박종원(1996). 학생의 선개념과 탐구 기능이 전기 실험 결과의 해석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227-238
  5. 박종원, 이종백, 오원근, 박종석(2000).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연구 I. 한국영재학회지, 10(1), 75-104
  6. Dreyfus, A., Jungwirth, E., & Eliovitch, R.(1990). Applying the Cognitive conflicts strategy for conceptual change-some implications, difficulties. and problems. Science Education. 74. 555-569 https://doi.org/10.1002/sce.3730740506
  7. Hashweh, M.(1986), Toward and explanation of conceptual change.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8(3), 229-249 https://doi.org/10.1080/0140528860080301
  8. Hewson, P. (1981). A conceptual change approach to learning science.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 383-396 https://doi.org/10.1080/0140528810304004
  9. Keeper, R.(1998), Criteria for designing inquiry activities that are effective for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concepts.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8, 159-165
  10. Strike, K. A., & Posner, G. J.(1982). Conceptual change and science teaching.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 231-240 https://doi.org/10.1080/0140528820040302
  11. Templin, M. A., Doran. R. L., & Engemann, J. F.(1999). A locally based science mentorship program for high achieving students: Unearthing issues that influence affective outcome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9, 205-212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9.tb17475.x
  12. Trumper, R.(1997). Applying conceptual conflict strategies in the learning of the energy concept.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15, 5-14 https://doi.org/10.1080/026351497015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