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utbreak, Maintenance, and Decline of the Red Tide Dominated by Cochlodinium polykrikoides in the Coastal Waters off Southern Korea from August to October, 2000

2000년 여름 남해안에 나타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우점 적조의 발생 특성

  • Jung, Chang-Su (Oceanography and Marine Environment Department,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Lee, Chang-Kyu (Oceanography and Marine Environment Department,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Cho, Yong-Chul (Chongpyong Inland Fisheries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Lee, Sam-Geun (Oceanography and Marine Environment Department,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Kim, Hak-Gyoon (Oceanography and Marine Environment Department,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Chung, Ik-Kyo (Dept. of Marine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im, Wol-Ae (Oceanography and Marine Environment Department,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정창수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부) ;
  • 이창규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부) ;
  • 조용철 (청평내수면연구소) ;
  • 이삼근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부) ;
  • 김학균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부) ;
  • 정익교 (부산대학교 해양과학과) ;
  • 임월애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부)
  • Published : 2002.05.31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outbreak, maintenance, and decline of the red tide dominated by C. polykrikoides in the coastal waters off Southern Korea from August to October, 2000, by combining field data and NOAA satellite images. In general, the C. polykrikoides blooms, which have occured annually in Korean coastal waters from 1995 to 1999, initiate between late August and early September around Narodo Island and expand to the whole area of the southern coast. However, initiation and short-term change of the bloom of 2000 were quite different from the pattern observed previously. In mid-August, thermal fronts in sea surface temperature(SST) were formed: 1) between the Tsushima Warm Current Water (TWCW) and the Southern Korean Coastal Waters (SKCW), 2) between the jindo cold water mass and the southwestern coastal waters, and 3) between the upwelled cold waters in the southeast coast and the offshore warm waters. Free-living cells of C. polykrikoides were concentrated in these frontal regions. In late August, the thermal front TWCW-SKCW approached the mouth of Yeosuhae Bay where Seomjin River water and anthropogenic pollutants from the Industrial Complex of Gwangyang Bay are discharged. In the blooms of 2000 initiated in Yeosuhae Bay in late August, the dominant species, C. polykrikoides, co-occured with Alexandrum tamarense, Gymnodinium mikimotoi, Skeletonema coastatum, and Chaetoceros spp. Two typhoons, 'Prapiroon' and 'Saomai' during and the C. polykrikoides bloom probably affected the abundance of this species. After the former typhoon passed the Korean Peninsula, cell growth of C. polykrikoides was maximal, but after the latter typhoon, the C. polykrikoides bloom disappeared (20 September). On 5 October, the blooms dominated by C. polykrikoides broke out within the coastal waters of Jinhae Bay and Hansan-Keoje Bay. NOAA satellite images showed that the isothermal line of 22$^{\circ}C$ extended into Jinhae Bay. In this bloom, C. polykrikoides also occurred simultaneously with Akashiwo sanguinea(=Gym-nodinium sangunium), a common red tide-forming dinoflagellate species in fall and winter in these coastal bays.

2000년 한반도 남해안에서 발생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초기발생, 진행과 소멸현상을 현장과 NOAA 위성 표층수온 자료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C. polykrikoides 적조는 1995년에서 1999년에는 적조 띠가 고흥 나로도해역에서 최초 발생되었으나, 2000년에는 여수해만 해역에서 최초로 발생되었다. 이는 한반도 남해해역에서 여러 해수가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1) 대마난류와 남해연안류, 2) 진도냉수대와 남서해 연안수 및 3) 남동연안의 저온수와 외양난류수, 이 기간동안 실시한 현장조사에서는 C. polykrikoides의 유영세포가 이들의 경계역에 집적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8월말에 대마난류와 남해연안류 사이의 남해 해양전선이 여수해만에서 형성되어 2000년 C. polykrikoides 적조가 바로 이 지점에서 시작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8월 22일). 이 C. polykrikoides 우점 적조는 Alexandrum tamarense, Gymnodinium mikimotoi, Skletonema coastatum, 그리고 Chaetoceros spp.와 혼합하여 발생하였다. 적조발생 기간 중에 한반도에는 'Prapiroon'과 'Saomai' 2개의 태풍이 C. polykrikoides 적조세력에 영향을 미쳤다. 태풍 'Prapiroon'이 통과한 후 C. polykrikoides 유영세포의 수는 최대를 보였고, 태풍 'Saimai' 통과 후 적조는 소멸하였다(9월 20일). 10월 5일에는 진해만과 한산-거제만에서 C. polykrikoides 적조가 발생하였는데, 이때의 위성사진은 22$^{\circ}C$의 수온전선이 한산-거제만을 거쳐 진해만까지 깊숙이 관입되어 있었으며, 적조발생해역 및 현장수온도 일치하고 있었다. 또한 이 지역에서 가을과 겨울철에 우점 출현하는 Akashiwo sanguinea(=Gym, sanguineum)와 C. polykrikoides이 함께 적조를 형성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수산 학회지 v.32 한국 남해 연안전선의 생물·화학적 특성 및 영양역학 구조 강영실
  2. 수진 연구보고 v.12 한국 남해안 연안수의 계절변동에 관한 연구 강철중
  3. 한국해양학회지 v.6 한국 남해안 전선에 관한 연구 공영
  4. 해양자료속보 no.1887 2000년 한국근해 해양정보
  5. 해양자료속보 no.1894 2000년 한국근해 해양정보
  6. 한국수산학회지 v.27 제주도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중국대륙연안수에 관한 연구 김인옥;노홍길
  7.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3 1996년 여름철 남해 표층수의 이상저염수 현상과 영양염류의 분포 특성 김성수;고우진;조영조;이필용;전경암
  8. 한국연안의 적조-최근적조의 발생 원인과 대책
  9. 1998년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 상황 김학균;조용철;정창수;이필용;정영균;배헌민;오봉철;이창규;조은섭;김정배;김창숙;임월애;윤성화
  10. 수진연구보고 v.57 나로도 인근해역에서 C.polykrikoides 적조의 최초발생과 환경특성 김학균;최우정;정영균;정창수;박종수;안경호;백철인
  11. 1999년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 상황 김학균;조용철;정창수;배헌민;오봉철;이창규;조은섭;김창숙;임월애;윤성화;김정배
  12. 한국수산학회지 v.34 한국연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적조 발생과 변천 김학균;정창수;임월애;이창규;김숙양;윤성화;조용철;이삼근
  13. 한국수산학회지 v.34 조류성장잠재력 시험에 의한 사량도 연안 Cochli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제한영양염 김형철;김동명;이대인;박청길;김학균
  14. 학국수산학회지 v.34 Cochlodinium polykrikoides의 성장에 미치는 물리·화학적 요인과 영양염 이용 김형철;이창규;이삼근;김학균;박청길
  15. 한국양식학회지 v.10 Dinoflagellates, Cochlodinium polykrikoides의 현장일주 이동 나기환;박경대;이숙희;김건효;남정배
  16. 한국수산학회지 v.23 한국남해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수괴특성 박주석;이삼근
  17. 한국수산학회지 v.31 동해전선역 동물플랑크톤 군집: 2.수온과 분포의 관계 박철;이창래;김정창
  18. 한국환경과학회지 v.9 NOAA 위성자료에 의한 해수표면 수온분포와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의 상관성 서영상;김정희;김학균
  19. 한국해양학회지 v.19 광양만 식물 플랑크톤 분포에 관한 연구 심재형;신윤근;이원호
  20. 한국수산학회지 v.32 한국 남·서해 및 동중국해 북부해역에 출현하는 표층수온전선과 선망어장과의 관계 양영진;김상현;노홍길;정도근
  21.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5 전남 고흥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1.물리·화학적인 특성 양재삼;최현용;정해진;정주영;박종규
  22. 수진연구보고 v.57 여수 돌산도 동부연안에서 담수유입에 의한 수질변화특성과 규조적조 발생 이영식;박종수;김성수;전경암;김영숙;박중현;백철인
  23.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6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기작과 대책 1.Cochlodinium polykrikoides적조발생과 소멸의 환경특성 이영식;박영태;김영숙;김귀영;박종수;고우진;조영조;박승윤
  24. 한국수산학회지 v.34 남해안 연안에서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Gymnodinium impudicum, Gymnodinium catenatum의 출현 상황과 온도, 염분, 조도 및 영양염류에 따른 성장 특성 이창규;김형철;이삼근;정창수;김학균;임월애
  25. 한국해양학회지 v.5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3. 1997년도 종속 영양성 와편모조류와 섬모류의 시공간적 변화 정해진;박종규;김재성;김성택;윤주이;김수경;박용민
  26.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5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2. 1997년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정해진;박종규;최현용;양재삼;심재형;신윤근;이원호;김형섭;조경제
  27. 수진사업보고서 적조예찰 및 예보자동화 연구 정창수;김학균;조용철;이창규;임월애;조은섭;윤성화
  28. 수진연구보고 v.57 1998년도 남해도 인근수역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과 동물플랑크톤의 분포특성 정창수;최우정;김학균;정영균;김정배;임월애
  29. 수진사업보고서 적조광역 모니터링 및 예측연구, 적조 예찰 및 예보자동화 연구 정창수;조용철;김학균;이창규;임월애;김숙양
  30. 해양연구 v.21 진해·마산만 일반수질항목 및 영양염류의 장기추이분석 조홍연;채장원
  31.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6 한국 남해 나로도와 소리도 사이 해역의 1998년 하계 해황 및 적조소멸과의 관계 최현용
  32. Estuaries v.20 Nitrogen limitation of phytoplankton in shallow embayment in Nothern Puget Sound Bernhard, A.E;E.R. Peele https://doi.org/10.2307/1352249
  33. J. Phycol v.24 Interactions between pulsed nutrient supplies and a photocycle affect phytoplankton competition for limiting nutrients in long-term culture Brzezinski, M;D.M. Nelson
  34. J. Oceanol. Soc. Korea v.26 On the primary productivit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Chung, C.S;D.B. Yang
  35. Limnol. Oceanogr v.14 Half-saturation constants for uptake of nitrate and ammonium by marine phytoplankron Eppley, R.W;J.N. Rogers;J.J. McCarthy https://doi.org/10.4319/lo.1969.14.6.0912
  36. Mar. Ecol. Prog. Ser v.186 Nutrient addition bioassays as indicators of nutrient limitaion of phytoplankton in an eutrophic estuary Holmboe, N;H.S. Jensen;F.O. Andersen https://doi.org/10.3354/meps186095
  37. J. Oceanol. Soc. Korea v.26 Annual cycles of nutrients and dissolved oxygen in a nutrientrich temperate coastal bay, Chinahae Bay, Korea Hong, G.H;K.T. Kim;S.J. Pae;S.H. Kim;S.H. Lee
  38. Bull. Korean Fish. Soc v.24 Suspended sediment budget in Gwangyang Bay through the Yeosu Sound Kim, D.C;H.J. Kang
  39. Ocean Res v.19 Recent harmful alglal blooms and mitigation strategies in Korea Kim, H.G
  40. J. Oceanol. Soc. Korea v.19 Thermohaline structure of the shelf front in the Korea strait in early winter Lee, J.C;J.Y. Kim;S.D. Chang
  41. Deep-Sea Res v.16 The kinetics of nitrate and ammonia uptake by natural populations of marine phytoplankton MacIsaac, J.J;R.C. Dugdale
  42. Bull. Korean Fish. Soc v.22 Studies on the phytoplankton and nutrient in the Yeosu Hae Bay Moon, C.H
  43. Limnol. Oceanogr v.26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phytoplankton growth: temperature and the interaction of temperature with nutrient limitation Rhee, G.Y;I.J.Gotham https://doi.org/10.4319/lo.1981.26.4.0635
  44. Limnol. Oceanogr v.43 Relaxtion of phosphorus limitation due to typhooninduced mixing in two morphologically distinct bastint basins of Lake Biwa, Japan Robarts, R.D;M.J. Waiser, O.Hadas;T.Zohary;S. MacIntyre https://doi.org/10.4319/lo.1998.43.6.1023
  45. J. Plankton Res v.23 Community assembly in marine phytoplankton: application of recent models to harmful dinoflangellate bloom Smayda, T.J;C.S. Reynolds https://doi.org/10.1093/plankt/23.5.447
  46. Mar. Biol v.24 Effect of interactions between temperature and nitrate supply on the cell-division rates of two marine phytoflagellates Thomas, W.H;A.N. Dodson https://doi.org/10.1007/BF00391895
  47. Bull. Korean Fish. Soc v.23 A study on sea water and ocean current in the sea adjacent to Korea Peninsula Yang, H.S;S.S.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