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적인 공동도급 운영모델에 관한 연구 -국내 대규모 건축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 Operation Model of Joint-Venture Contract - With a Focus on the Example of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

  • 서명석 (경동대학교 건축환경공학부) ;
  • 김무한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발행 : 2002.09.01

초록

공동도급은 상호 수행하기를 원하는 프로젝트가 있을 때, 시장성확보, 조직, 프로젝트 수행 등의 이유로 룰 이상의 회사가 함께 힘을 합쳐 조직을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공동도급은 상호 보완하는 것에 기초하게 되는데 기술력, 설계-시공능력, 지리적 위치, 자본력 등 수주를 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요소가 부족할 때 이러한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기본적인 취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인 공동도급 운영모델에 관한 연구로서 국내 대규모 건축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공동도급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합리적인 조직을 구성하는 대안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 joint venture approach to the marketing, organization, and execution of a project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combined strengths of two or more entities result in a joint organization with unique credentials in a targeted business area. A joint venture is based o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one party may lack one or more major elements needed for market penetration, such as technology, design-construct capabilities, geographic location, or financial strength; the other party should be able to compensate for these areas of weak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suggest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 joint venture, the proper organizational approach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기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2001
  2. 건설산업기본법, 2000
  3. 공동도급 운영설무해설서, 대한건설협회, 1993
  4. 박찬식외, 공동도급공사의 효율적 운영 및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공공공사에서의 공동이행방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3권6호,1997.6
  5. Robert L. Kimmons, James H Loweree. Project Management- A Reference for Professionals, Marcel Dekker, Inc, 1989
  6. Becker, M.V., Construction Joint Venture: Form and Practice Guide, John Wiley and Sons,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