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된 Wilms 종양에서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의 의의

The Role of Neoadjuvant Chemotherapy for Advanced Stage Wilms Tumor

  • 강창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
  • 문광빈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
  • 유건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
  • 구홍회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
  • 윤혜경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
  • 박관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비뇨기과)
  • Kang, Chang Kyu (Department of Pediatrics, Samsung Seoul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Moon, Kwang Bin (Department of Pediatrics, Samsung Seoul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Yoo, Keon Hee (Department of Pediatrics, Samsung Seoul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oo, Hong Hoe (Department of Pediatrics, Samsung Seoul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Yoon, Hye Kyung (Department of Radiology, Samsung Seoul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Park, Kwan Hyun (Department of Urology, Samsung Seoul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투고 : 2002.08.23
  • 심사 : 2002.09.16
  • 발행 : 2002.12.15

초록

목 적 : Wilms 종양은 진행된 경우에서도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의 병합요법으로 치료 성적이 우수하지만 방사선 치료로 인한 후기 합병증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행된 Wilms 종양(병기 3기, 4기)에서 수술 전 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종양의 완전 절제율을 높임으로써 방사선 치료를 생략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저자들은 1998년 12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Wilms 종양으로 치료를 시작한 환자 중 침 생검 후 수술 전 화학요법을 시행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 시 3기, 4기의 환자에서 침 생검이 가능한 경우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vincristine, adriamycin, dactinomycin)을 12주간 시행 후 종양의 크기가 감소하면 종양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완전 절제가 된 경우 방사선 치료를 생략하고 수술 후 화학요법(vincristine, dactinomycin${\pm}$adriamycin)을 시행하였다. 침 생검이 기술적으로 어렵거나 위험하다고 생각되었던 경우에는 먼저 수술적으로 종양을 절제하고 방사선 치료와 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연구기간 중 삼성서울병원에서 치료를 시작한 17례의 Wilms 종양 중 3기, 4기는 12례였고 이중 2례에서는 침생검이 불가능하여 먼저 수술적으로 종양을 절제하였고 침생검이 가능하였던 경우는 10례였다. 이들의 진단 시 정중 연령은 21개월(5개월-103개월)이었고, 진단 후 정중 추적기간은 31개월(9개월-44개월)이었다. 수술 전 화학요법을 시행한 10례 중 2례를 제외한 8례에서 수술시 병기가 1기로 하향화되었으며, 수술시 병기가 2기였던 1례와 함께 총 9례에서 종양의 완전절제가 가능했고 방사선 치료도 생략할 수 있었다. 이들 중 4례에서는 adriamycin도 치료에서 제외하였다. 종양의 완전 절제에 실패한 1례는 결국 사망하였고, 1례는 재발하였으나 강화된 항암화학요법과 수술로 다시 관해에 도달하여 현재 10례 중 9례가 무병 생존 중이다. 결 론 : 진행된 Wilms 종양에서 수술 전 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종양의 완전 절제율을 높이고 방사선 치료를 생략할 수 있었으며, 일부 환자에서는 수술 후 화학요법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향후 생존율의 저하 없이 후기 합병증을 줄일 수 있을 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clude radiation in advanced(stage 3, 4) Wilms tumor (WT) by increasing the chance of complete surgical removal with preceding neoadjuvant chemotherapy, thereby reducing the incidence of late effects. Methods : Between December 1998 and July 2002, we conducted neoadjuvant chemotherapy after needle aspiration biopsy on patients who had advanced WT. If needle biopsy was accessible, we conducted neoadjuvant chemotherapy(vincristine, adriamycin, dactinomycin) for 12 weeks and then performed surgical removal, excluded radiation therapy and conducted postoperative chemotherapy (vincristine, dactinomycin${\pm}$adriamycin). In other cases, we firstly conducted the operation and then performed radiation 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Results : Of the 17 patients diagnosed as WT, 12 patients had an advanced stage of disease. In two of the 12 patients, initial surgical removal was conducted. The median age of patients was 21 months(5-103 months). Of the 10 the patients who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 eight patients were stage 1, one patient was stage 2, and the other was stage 3 at operation. In nine patients except one with stage 3 disease, we could perform complete surgical resection and therefore could omit radiation. In four cases we could also exclude adriamycin after operation. All but one patient was alive, disease-free, for a median follow-up of 21 months(9-43 months). Conclusion :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we could increase the chance of complete tumor resection, exclude radiation and decrease the intensity of postoperative chemotherapy in selected cases. Long term follow-up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our method would significantly decrease late effec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