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군 가와사끼병에서 스테로이드 추가 요법의 효과

Corticosteroids Add-on Therapy in the Acute Phase of Kawasaki Disease

  • 강선미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문은경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인수미 (대전선병원 소아과) ;
  • 길홍량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Kang, Seon-Mi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Moon, Eun-Ky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In, Su-Mi (Sun Hospital) ;
  • Kil, Hong-Rya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2.08.05
  • 심사 : 2002.09.18
  • 발행 : 2002.12.15

초록

목 적: 최근 들어 가와사끼병 치료에서 고전적인 치료(정맥 내 감마 글로불린+아스피린) 이외에 과거에 금기시 되었던 스테로이드 병용 요법의 다양한 임상적 결과가 보고되고 있어 가와사끼병 고위험군(Harada score 4점 이상)에서 스테로이드 추가 요법의 임상적 효과를 평가 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서 가와사끼병으로 진단된 96명을 대상으로 급성기의 치료 방법에 따라 3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가와사끼병 급성기에 A군은 아스피린(100 mg/kg/day)과 정맥내 감마 글로불린 2 g/kg 1회; B군은 아스피린(100 mg/kg/day)과 정맥내 감마 글로불린 1 g/kg 1회; C군은 B군에 prednisolone(2 mg/kg/day)을 추가 하였고 2주간에 걸쳐 점차 용량을 감소하여 중단하였으며, 재치료시에는 methyl-prednisolone 대용량 요법을 사용하였다. 모든 군에서 급성기 이후 8주간 저용량 아스피린을 사용하였다. 임상적, 심혈관계, 및 혈액학적 평가는 급성기, 급성기 직후, 및 아급성기인 치료 8주 후 시행하였다. 결 과 : 관상 동맥 이상 빈도와 혈액학적 이상 정도는 세 치료군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치료 후 해열까지의 기간 및 재치료율에 있어서는 스테로이드 추가 요법 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결 론 : 스테로이드 추가 요법은 IVGG 단일요법과 비교해 볼 때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입원기간 등에서 동등한 치료 효과를 보이며, 해열기간, 재치료율 등에 유의한 감소를 보여 가와사끼병 고위험군에 대한 일차적인 치료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Purpose : Recently, clinical trials of steroid add-on therapy were reported with variable results in Kawasaki disease. We analyzed the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at high risk of with Kawasaki disease(${\geq}4$ points of Harada score) treated by three commonly used different treatment regimens, with or without corticosteroids. Methods : Medical records of 96 children with Kawasaki disease treated with one of the threee regimen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gimen 1 was aspirin(100 mg/kg/day) plus intravenous gamma globulin 2 g/kg single dose; regimen 2, aspirin(100 mg/kg/day) plus intravenous gamma globulin 1 g/kg single dose; regimen 3, regimen 2 plus prednisolone(2 mg/kg/day), followed by tapering two weeks and pulse therapy of methyl prednisolone performed in cases of retreatment. Also low dose aspirin was given in all three regimens for eight weeks after the acute phase. The cardiovascular and laboratory evaluations were performed on acute phase, immediate after acute phase, and subacute phase, eight weeks after treatment. Results : The frequency of coronary artery lesions and laboratory findings in the three different regimens were similar. The more rapid control of fever after treatment was noted in regimen 3. Furthermore the frequency of retreatment was decreased in regimen 3 compared to the other two regimens. Conclusion : Steroid add-on therapy showed some beneficial outcome compared to conventional treatment regimens. The role of steroid in the treatment of Kawasaki disease should be reassessed in systemic mann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