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외충격파쇄석술 적용을 위한 췌관결석의 방사선학적 선택

Radiographic Prognostic Criteria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for Pancreatic Ductal Stones

  • 이원홍 (서울아산병원 방사선과) ;
  • 양선욱 (서울아산병원 방사선과) ;
  • 엄준용 (서울아산병원 방사선과) ;
  • 조정찬 (서울아산병원 방사선과) ;
  • 류명선 (서울아산병원 방사선과) ;
  • 김건중 (서울아산병원 방사선과)
  • 발행 : 2002.12.31

초록

1997년 8월부터 2002년 5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 내원하여 췌관결석 진단을 받은 후, 내시경적 결석제거에 실패하고 ESWL을 시행받은 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췌관 결석의 방사선학적 특징을 결석 수, 가장 큰 결석의 최대 직경 길이, 결석의 농도, 그리고 생긴 모양으로 분류하였다. 전체대상 59예 중 45예(76.3%)에서 결석의 완전한 제거가 확인되었으며 14예(23.7%)에서는 결석의 완전한 제거에는 실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1. 단일 결석을 가진 28예 중 21예(75.0%)에서 결석이 완전 제거되었으며, 두 개 이상의 다결석을 가진 31예 중 24예(77.4%)에서 결석이 완전 제거되었다. 2. 결석의 최대 직경이 30m 이하의 경우인 53예 중 41예(77.4%)에서 결석의 완전한 제거가 확인되었으며, 30mm 보다 큰 경우인 6예 중 4예(66.7%)에서 결석의 완전한 제거가 확인되었다. 3. 척추의 체부(body)와 비교한 결석의 농도측면에서, 척추의 체부 보다 농도가 낮은 경우, 즉 비석회화 결석 8예 중 8예(100%) 모두에서 결석이 완전 제거되었으며, 농도가 같은 경우인 43예에서는 37예(86.0%)가 결석의 완전한 제거를 보였으나, 농도가 척추 체부 보다 높은 3예 중 3예(100%) 모두에서 결석의 완전한 제거에 실패하였으며, rim calcified stone 5예 중 5예(100%) 모두에서 또한 결석의 완전한 제거에 실패하였다. 4. 각이진 모양의 결석 9예 중 2예(22.2%)에서 결석이 완전 제거되었으며, 그렇지 않은 원형이나 타원형 모양의 경우인 50예 중 43예(86.0%)에서 결석의 완전한 제거를 확인하였다.

The pain of chronic pancreatitis associated intraductal stones is related to increased intraductal pressure. Decom-pression of the pancreatic duct along with extraction of stones are the goals of a combined endoscopic-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approach.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fine radiographic prognostic criteria for better complete free rate of pancreatic head and body ductal stones for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Fifty-nine patients with chronic pancreatitis were treated by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for endoscopically unretrievable stones. The stones on endoscopic retrograde pancreatograms were classified into four characteristics including number, size of longest diameter, density compared with vertebral body, and shape. Complete stone free were obtained in 45 of 59(76.3%). Pancreatic ductal stones with radi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higher density than vertebral body, square shape, and rim calcified stones were hindrance factors for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We propose that patients with rim calcified stone of our three hindrance factors should be treated by other techniqu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