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age and Analysis on Readability of Korean Typography in WBI for Children

효과적인 아동용 WBI를 위한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가해성 분석과 활용

  • Han, Jeong-Hye (Dept. of Computer Education,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im, Yong-Dae (Dept. of Computer Education,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한정혜 (청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김용대 (청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Published : 2002.11.30

Abstract

Looking at multimedia education contents from a design point of view, the instructor's design model may differ from the child's understanding model due to gap of the instructor's and child's knowledge. This fact implies it impacts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contents. The learning efficiency of Korean typography in WBI for children depends on the font-family, line space, font-size, the age of user, the output device such as the monitor, and other various factors. In this paper, we measured and analyzed on readability of Korean typography in WBI for children by reading speed method. The results of experiments show that readability depends on the font-family of typography, age(grade), and sex of children. In detail, "Goolymche" has the shortest time to be read, and girl and the highest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have shorter time than boy and the lower grade students. Moreover, we consider the elegance of typography in WBI for holding children's interests because they prefer "Yopseoche". We provide some CSSs in WBI for children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o used in school fields.

멀티미디어 교육용 컨텐츠의 디자인적 측면에서 아동과 교사간에는 지식과 감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교사의 설계모델이 아동의 인지모델과 다를 수 있고 이는 곧 교육용 컨텐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한글 타이포그래피가 위주인 교육용 컨텐츠의 학습효과는 글꼴, 줄 간격, 글꼴크기, 사용자 나이뿐만 아니라, 웹기반 컨텐츠의 경우에는 모니터라는 출력장치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컨텐츠의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 타이포그래피의 정보 전달속도에 대한 가해성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아동용 WBI를 위한 타이포그래피에 대하여 독서속도 측정법을 이용하여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아동용 WBI 타이포그래피의 가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글꼴, 나이(학년), 성별이었는데, 산세리프체 종류와 고학년, 여자아동이 높은 가해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아동에게 효과적인 WBI를 위하여, 산세리프체 중 "굴림체"외에도 아동에게 좋은 가해성과 심미적으로도 선호되는 탈네모틀 글꼴 "엽서체"를 고려한 타이포그래피를 CSS로 제시함으로써 초등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