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질성 폐질환에서 TUNEL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임상적, 방사선학적, 및 병리학적 지표와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of TUNEL Apoptotic Index with Clinicoradiologicopathologic Scores in Interstitial Lung Disease

  • 김윤섭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명나혜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박재석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지영구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계영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Kim, Youn-Seup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Myung, Na-Hye (Department of Pathology,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Jae-Seu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ee, Young-K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Kye-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2.08.30

초록

연구배경 : 간질성 폐질환은 병리소견, 임상경과 및 치료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 다양한 양상을 보이지만 궁극적으로는 폐섬유화로 진행한다. 최근 간질성 폐질환의 병태생리에 있어서 폐상피세포의 아포프토시스가 폐섬유화로의 진행에 관여한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질성 폐질환 환자에서 아포프토시스가 갖는 임상 및 병리학적 의미를 확인하기 위하여 TUNEL을 이용한 아포프토시스의 지수와 임상양상, 병리소견, HRCT소견, 그리고 치료반응 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방 법 : 개흉폐생검을 통해서 확진된 간질성 폐질환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포프토시스의 지수는 TUNEL 양성세포의 분율에 따라서 0-2로 구분하였다. 임상양상은 CRP 점수체계를 응용하여 이용하였다. 병리소견은 섬유화, 세포충실도, 탈락화, 육아조직성 정도에 따라 점수화하였다. HRCT소견은 간유리음영과 봉와양음영을 각 엽별로 침범한 정도에 따라서 점수화하였다. 치료의 반응은 치료전과 치료후 3개월째에 시행한 CRP 점수체계의 변화율이 10%이상 증가하였을 때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는 20명(남 14명, 여 6명)으로 조직학적 아형으로는 AIP 3명, NIP 2 명, BOOP 8명, UIP 7 명이었다.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CRP 점수체계의 요소들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또한 HRCT소견인 간유리음영점수와 섬유화점수는 역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조직학적소견에서는 섬유화 점수, 세포충실도 점수, 그리고 탈락화 점수에서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부신피질호르몬 치료를 받은 16명의 환자중에서 9명 (56.3%)에서 치료효과가 있었는데 부신 피질호르몬 치료효과 유무와 아포프토시스 지수사이에는 상관관계는 없었다. 급, 아급성 간질성폐렴에서는 세포충실도 점수와 탈락화 점수가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만성 간질성 폐렴에서는 섬유화 점수와 세포충실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간질성 폐질환에서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병리학적 지표들과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관찰한 본 연구를 통하여 간질성 폐질환의 병태생리에 아포프토시스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kground : Interstitial lung disease has various manifestations that are differentiated by their pathology, progress and treatment. However, all manifestations eventually progresses to pulmonary fibrosis.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apoptosis of pulmonary epithelial cells might be related to pulmonary fibrosis. The correlation of the apoptotic index with the clinical manifestations, pathological findings, HRCT findings and the response to treatment were examined.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 subjects (14 men, 16 women), who had been diagnosed with interstitial lung disease through an open lung biops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subtypes were one AIP, two NIP, eight BOOP, and seven UIP cases. The apoptotic index was scaled from 0-2 depending on the fraction of positive staining cells by TUNEL method. The clinical severity was assessed by a modification of a previously developed CRP scoring system. The pathologic scores were based on 4 components: fibrosis, cellularity, desquamation, and granulation. In the HRCT study, each lobe was scored by the radiologists on a scale for both fibrosis and ground-glass attenuation. The treatment response was assessed by an increase in more than 10% of the CRP score, and comparing the results 3 months before and after treatment. Results : The apoptotic index showed no correlation with the CRP and HRCT scoring system. The apoptotic index correlated with the pathologic elements including fibrosis, cellularity and the desquamation score (p<0.05). Of the 16 patients who received corticosteroid therapy, 9 patients (56.3%) responded to therap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response to corticosteroid and the apoptotic index. In the case of patients with acute and subacute ILD, the apoptotic index showed a correlation with the cellularity, desquamation, and the total histological score (p<0.05). In the case of patients with chronic ILD, the apoptotic index correlated with the fibrosis and cellularity score (p<0.05). Conclusion : Apoptosis of the pulmonary epithelial cells is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interstitial lung disease particularly on a pathological basi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