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문화의 언론사상사적 기반에 관한 연구

Rhetoric, Debate and Its Epistermological Basis

  • 공용배 (단국대학교 언론영상학부)
  • Kong, Yong-Bae (Dept. of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Images, Dankook University)
  • 발행 : 2002.10.15

초록

그동안 기존 연구들은 우리 사회에서 토론문화가 발전할 수 없었던 원인이 억압적인 유교규범과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권위주의 정치체제에 있었던 것으로 간주해 왔다. 그러나 기존의 설명들로는 민주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 사회가 아직도 토론문화 부재의 상황에 머물러 있는 현실을 해명해 주지는 못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본 연구에서는 고대 동 서양의 커뮤니케이션 사상과 그 인식론의 비교를 통해 해명의 실마리를 찾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서양에서는 이미 고대 그리스시대부터 대화와 토론의 필요성과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었던 반면에 고대 중국을 포함한 한국 등 유교문화권에서는 대화와 토론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인식하지 않고 있었다. 그 이유는, 서양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진리를 발견하고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토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던 반면에 동양에서는 진리를 탐구와 확인의 대상이 아니라 실천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유교문화권에서는 대화와 토론의 문화가 발전하고, 성숙될 수 있는 바탕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던 것이다.

The previous study has assumed that dialogue and debate could not have been activated by the hierachical Confucian norm and political authoritarianism in Korean society. Political democracy has developed in Korean society since 1987. But many observers have pointed out that the culture of debate still remained undeveloped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assumes that the key factor of determining the quantity and frequency of debate is the polilitical factor such as authoritarianism, but the determining one of qualitative dimension such as debate competence derived from the epistemological tradition. In order to ascertian this hypothesis, this study explored the epistemological basis of Confucian thoughts in comparison with the classical Greek thoughts. In classical Greek society, philosophers considered that the purpose of debate is to find and to ascertain the truth. Bur Confucian scholors didn't look upon questioning the truth. Instead they considered practicing or doing of the truth worthful. Therefore, in a society which were much influenced by the Confucian thought, the culture of debate could not have been develop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