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자의 인적 속성이 이동전화 이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uman Factors on the Use of Mobile Phone

  • Bae, Jin-Han (Dept. of General Education, Sangji University)
  • 발행 : 2002.10.15

초록

이 연구는 이동전화에 대한 채널 정향, 면 대 면 커뮤니케이션의 회피 등 이용자들의 인적 속성이 이동전화 이용의 다양성, 이동전화의 적합성 거부감 그리고 이동전화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대학생과 40대 이상의 그들의 가족들로 구성된 피조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바를 분석한 결과, 응답자들은 이동전화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과 친밀도가 높을수록 이동전화 서비스를 더욱 다양하게 이용하고 대인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이동전화에 대한 거부감도 더 작은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면 대 면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지 못한 사림들은 이동전화를 통한 대인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폭과 이동전화 이용량도 상대적으로 제한돼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시성, 직접성, 이동성, 접근용이성 등 이동전화의 여러 가지 기술적 강점에도 불구하고 면 대 면 커뮤니케이션이 원만하지 못한 이용자들은 새로운 인간관계의 형성보다는 그들의 편협한 대인관계의 유지 강화에 이동전화를 주로 이용하고 있음을 이 연구결과는 보여주고 있다.

Mobile phone users have diversified human factors: their channel orientations are different, and the degrees of unwillingness to communicate vary. We examined the effect of human factors on the use of mobile phone, such as the diversity of mobile phone use, the appropriateness of mobile phone, and the aversion to mobile phone as well as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mobile phone. For our sample we surveyed college stud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who are older than 400. We found that the more social presence a mobile phone user gets through the mobile phone, and the more familiar to the mobile phone he/she is, (1) the more diversified is the use of mobile phone service, (2) the higher is the level of acceptance of the mobile phone as a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edia, and (3) the lower is the level of aversion to the mobile phone. In contrast, those who have some level of aversion to the face-to-face communication, seem to form very limite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mobile phone. Their use of mobile phone is also very limit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