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동 자생지 환경 및 생육 특성

Environment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sparagus cochinchinensis (Lour.) Merr.

  • 발행 : 2003.09.30

초록

한약재 및 식품으로의 개발가능성이 높지만 현재 멸종위험에까지 처해있는 천문동의 체계적 보호 및 보존을 위하여 자생지 분포특성조사와 유전자원을 수집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해안(충남 이남)과 남해안, 동해안(경북 이남)의 45개 지역을 중심으로 유전자원의 분포특성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생이 확인된 26지역으로부터 천문동 자생종을 수집하였다. 2. 자생지분포 조사 결과 섬을 제외한 육지부 천문동 자생지는 북위 $36^{\circ}15'$ (충남 보령군 남포면 월전리 죽도) 이남의 서해안으로부터 동경 $128^{\circ}02'$ (경남 사천시 실안동 강포) 이서의 남해안이었다. 3. 천문동은 해안선에 주로 분포하고, 자생지 주요 식생은 소나무가 우점 하였다. 4.자생지 천문동의 생육상황은 햇볕의 투과정도가 좋을수록 지하부 생장량이 많았다.

There were so many Asparagus cochinchinensis (Lour.) Merr. in the past in Korea. Now a day, it is under diminishing circumstance because of over exploitation for pharmacy materials. The amount of domestic market demand of it was imported. The autochthonous planting areas were mainly surveyed along coastal region and island. Autochthonous A. cochinchinensis was mainly distributed in sea shore below 1km from sea and founded 26 regions among 45 surveyed regions. Northern and eastern limited distribution of A. cochinchinensis was $N36^{\circ}15'$ in the west coast and $E128^{\circ}02'$ in the south coast of Korean peninsula, respectively. But it was not founded in the east coastal region. Dominant vegetation of surveyed area was pine with shrub. The number of tuberous roots of A. cochinchinensis growing in good light penetration was more than growing in bad light penetr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江蘇新醫學院.1998. 중약대사전. 도서출판정담. 서울. pp. 5310-5316
  2.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4. 동의학사전. 도서출판 까치. 서울. p.997
  3. 김재길, 신영철. 1992. 약용식물 재배학. 남산당. 서울. pp. 257-258
  4. 김재환, 주영승. 1994. 맥문동과 천문동의 효능에 관한 문헌적 고찰. 본초분과 학회지.9(1) : 127-141
  5. 戴新民. 1978. 中國藥材學. 啓業書局. 北京. pp. 184-185
  6. 北京中醫學院中藥敎硏室編. 1962. 藥性歌括四百味白活解. 人民衛生出版社. 北京. pp.10-11
  7. 蕭培根. 1994. 중국본초도감. 여강출판사. 서울. 1권:p.249, 2권:p.58, 185, 186, 3권:p.122, 4권:p. 62, 187, 317
  8. 신길구. 1982. 신씨본초학. 수문사. 서울. pp. 115-117
  9. 오수영, 박홍재. 1999. 한국 유관속식물 분포도. 아카데미서적. 서울. p. 251
  10. 李世君, 芭林. 북경. 1991. 中國藥用植物栽培學. 新華書店北京發行所. pp. 415-417
  11. 정보섭, 신민교.1990. 향약대사전. 영림사. 서울. pp. 164-165
  12.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1999-2002. 의약품등 수출입실적. 서울. CD-ROM
  13. 황도연. 1978. 방약합편. 남산당. 서울. P. 178, 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