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amily Relationship Scale : Re-validation

"가족관계척도" 활용을 위한 타당도 연구

  • 양옥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 ;
  • 이민영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Published : 2003.08.31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re-validation evaluation of the family Relationship Scale (FRS), developed to measure the family relationship in the social work practice. This study aims at re-validating the FRS, developed and validated in by Yang in 2001 for more general utilization. The sample was married mates and females residing in Seoul. For Face Validity, the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FRS was re-validated in the dimensions of Love & Caring, Acceptance, and Recognition, positive affection, empathy, and autonomy and flexibility for each area. Internal reliability was .93, and internal consistency among three dimensions was 93%. For Empirical Validity, the Construct validity, the Criterion validity, and the Discriminant validity were performed. Construct Validity was validated through factor analyses. Commonalities for the factor analysis was 54%, and the factor loading for each factor was over .45. The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also confirmed the fitness of the scale. For Predictive Validity of Criterion Validity,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family stress scores became lower as the scores of the family relationship became higher; the discriminant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mily stress turned low ill tile group of high scores of family relationship. The Correlation analysis for Concurrent Validity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showed the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 couple communication level (r=54) and a parent-child communication level (r=64). Life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level also reveal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prove Convergent Validity. Physical health level revealed a weak relationship with family relationship providing the evidence of Discriminant Validity. Discriminance was also proved by the analysis of variance with demographics. Thus, Cross Validation was confirmed the validation of the FRS through the various analyses with the married population. This study result improved the validity generalization of the Scale and verify the generalized usage of this sociometric scale in the field of social work practice.

본 연구는 가족을 단위로 개입하는 사회복지 실천 및 연구 현장에 적합한 가족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척도의 일반화 가능성을 검증하는 연구이다. 사회복지분야에서 2001년 개발된 "가족관계척도"를 도구로 하여, 이론적, 논리적 고찰을 통한 액면타당도 검증을 하였으며, 기혼자 집단 분석을 통한 실증적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액면타당도를 위한 내용분석 결과 정서친밀요인은 긍정적 정서표현, 수용존중요인은 공감, 인정책임요인은 자율성과 유연성의 개념으로 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증타당도를 위한 분석결과는 구성타당도, 기준관련 타당도, 변별력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구성타당도를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누적설명량은 54%, 각 하위요인별 문항들은 0.45 이상의 안정된 부하량을 보여주었고,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모형에 대한 부합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기준관련타당도 중 예측타당도를 위한 회귀분석과 판별분석 결과, 가족관계의 점수가 높을수록 가족스트레스 인식이 유의미하게 낮아지며, 가족스트레스 상 하위집단에서 유의미한 판별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동시타당도를 위한 상관관계분석 결과 "가족관계척도"의 설명변인으로 부부(r=.54)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r=.64)이 가장 높은 긍정적 관계를 보인다. 삶의 만족 수준과 정신건강 수준도 가족관계 수준에 유의미한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 가족관계척도와의 수렴타당도를 설명하였고, 신체적 건강 수준은 가족관계 수준과 미약한 관계를 보여주어 가족관계척도의 판별타당도를 보여주는 근거로 검토되었다. 마지막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관계척도의 변별력을 살펴본 결과, 연령, 결혼형태, 경제적 수준, 학력에 대한 "가족관계척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생 집단을 통해 개발된 "가족관계척도"가 기혼자 집단에서 교차타당성(cross validation)이 확보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전 연구에서 밝히지 못한 다양한 기준관련 타당도와 인구사회학적 변별력을 통해 타당도의 일반화를 높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사회복지분야에서 처음 개발된 "가족관계척도"가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연구 및 실천현장에서 사회측정도구(sociometric)로 활용되는데 있어 보다 실증적인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