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terns of Meniscus Injury with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s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과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의 양상

  • Cho Sung-D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Ko Sang-Hoo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Hwang Soo-Yeo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Kim Moon-Cha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조성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고상훈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황수연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김문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location, type and treatment of meniscal injury associated with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tears Material and Methods: From Mar. 1997 to Feb. 2002, we reviewed 73 cases of acute ACL tear. There were 66 males and 7 females. The average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33 year old (range, 16-62 years). The common causes of meniscal injury were sports injuries (45 cases) and traffic accidents (19 cases). In 45 sports injuries, thirty four cases were soccer injuries. All patients had undergone arthroscopic evaluation. We analyzed incidence, type, location, and treatment of meniscal injuries, especially those of soccer injuries. Results : Foully eight (57 sites) out of 73 had meniscal tears : Of these injuries, tears of lateral meniscus (26 cases, $54.2\%$) were more common than medial meniscus. Posterior horn of the meniscus was the most common location (52 cases, $91.2\%$) and radial tears were the most common type (15 cases, $26.3\%$). Thirty eight cases $(66.7\%)$ were treated by partial menisectomy. In soccer injuries, twenty eight (33 sites) out of 34 had meniscal tears. and tears of lateral meniscus (17 cases, $60.7\%$) were more common. Posterior horn of the meniscus was the most common location (30 cases, $90.9\%$) and radial tears were the most common type (9 cases, $27.3\%$). Twenty two cases $(66.7\%)$ were treated by partial menisectomy. Conclusions : Lateral meniscal tears in the setting of an acute ACL insufficiency are more common than medial meniscal tears. The findings in the this study would be helpful in clinical diagnosis and subsequent treatment decisions in patients with an acute ACL tears.

서론 :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환자에서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의 발생 빈도, 위치, 형태 및 치료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수상 6개월 이내의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환자 73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6례, 여자가 7례였으며, 평균 연령은 33($16\~62$세)였다. 수상 원인으로서는 스포츠 손상(45례), 교통사고(19례)순으로 많았으며, 스포츠 손상에서는 축구 손상이 34례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관절경을 이용하여 반월상 연골 손상의 위치, 형태에 대해 확인하였으며 치료에 대해서도 분석해 보았고 특히 축구 손상으로 인한 군과 교통 사고로 인한 군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 손상이 동반된 경우는 48례$(65.8\%)$로 그 중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이 26례$(54.2\%)$로 가장 많았으며, 위치는 후각부에서 52례$(91.2\%)$로 가장 흔하였다 형태는 방사상 파열이 15례$(26.3\%)$로 가장 흔하였으며 치료는 부분 절제술이 38례$(66.7\%)$ 가장 많았다. 이들 중 축구 손상으로 인한 군에서는 반월상 연골 손상이 동반된 경우는 28례$(82.4\%)$였으며, 그 중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이 17례$(60.7\%)$로 가장 많았으며, 위치는 후각부에서 30례$(90.9\%)$로 가장 흔하였다. 형태는 방사상 파열이 9례$(27.3\%)$로 가장 흔하였으며 치료는 부분 절제술이 22례$(66.7\%)$로 가장 많았다. 결론 : 급성 전방 십자 인대의 파열시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의 빈도가 내측 반월상 연골 빈도보다 많았으며 후각부 손상이 가장 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환자에서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