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hroscopic Excisional Debridement of Cyst-like lesion in juxta-articular Knee Joint

관절경을 이용한 슬관절주위 낭종유사 병변의 절제제거술

  • Ko, Sang-H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Cho, Sung-D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im, Jong-Oh (Ewha Womans University)
  • 고상훈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조성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종오 (이하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Purpose : A cyst-like lesion within and around the knee joint is very rare, with very few articles available in the literatu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arthroscopic treatment of cyst-like lesion within and around the knee joint which reported rarely. Materials and Methods : We are reporting 14 cases of cyst-like lesion around the knee joint. Our cases include 3 ganglion cyst in infrapatellar fat pad, 1 fibroma, 1 giant cell tumor and 1 epidermoid cyst which have not yet been reported. The diagnosis of cyst-like lesion in Juxta-articular knee Joint was made only by MRI study and we confirmed pathology. Male was 9, female was 5 cases, average age was 24(11-43)year old. Follow up was average 45(12months-8years)months. Minimum follow up was 12 months. Results : All the patients were treated arthroscopic excisional debridements successfully. All the cases were excellent result in last follow up by functional criteria in Lysholm knee score average 98.9(95-100). All examimation was normal except 3 cases in last follow up. But all patients satisfied in arthroscopic treatment. Conclusion : Arthroscopic excisional debridement of the cyst-1ike lesion in juxta-arthcular knee joint is excellent method, but long term follow up needed in the future.

목적 : 슬관절주위의 낭종유사 병변은 매우 드물고, 보고된 문헌이 거의없다. 이 논문의 목적은 드물게 보고되는 슬관절주위 낭종유사 병변의 관절경적인 절제제거술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대상 및 방법 : 슬관절주위에서 발견된 14예의 낭종유사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3예의 슬개하 지방체의 결절종, 1예의 관절내 거대세포종은 거의 보고된 적이 없으며 1예의 관절낭주위 상피양 낭종과 1예의 관절내 섬유종은 전 세계적으로 보고된 적이 없다. 슬관절주위 낭종유사 병변의 진단은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였고 병리조직검사에 의하여 확진되었다. 남자는 9예였고 여자는 5예였으며 평균나이는 24($11\~43$세) 였다. 최종 12개월 추시되었고 평균 추시기간은 45(12개월$\~$8년)개월이었다. 결과 : 모든 환자는 관절경을 이용한 절제제거술을 시행하였고 최종추시에서 초음파검사 및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실시하여 재발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최종추시 Lysholm 슬관절지수는 98.9점 $(95\~100)$이었고 최종추시시 4례에서 이학적검사상 경도의 이상소견을 보였으나 모두 만족하였다. 전례에서 우수의 결과를 얻었고 재발은 없었다. 결론 : 슬관절주위 낭종유사 병변의 관절경적인 절제제거술은 우수한 방법이고 이후 오랜기간의 추시가 필요하다.

Keywords